d라이브러리
"반사망원경"(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과학동아 l2000년 08호
- 우주의 비밀들은 모든 파장의 전자기파에 실려 있다.하지만 지구대기는 가시광선 영역과 전파영역 일부를 제외하고 우주로부터 오는 전자기파를 대부분 가로막는다.우주망원경이 대기권 밖으로 나간 이유다.우주망원경들의 새로운 눈이 보여주는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우주망원경에 대한 착상은 ...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과학동아 l2000년 08호
- 만들어졌다.반사 망원경은 굴절망원경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예를 들면 반사망원경은 렌즈 대신에 거울을 사용하므로 색수차 현상(빛이 렌즈 를 지나갈 때 따라 초점 거리가 변하는현상)이 없으며, 또한 굴절 망원경에 비해 경통의 길이를 매우 짧게 만들 수 있다.오늘날 사용되는 망원경이 ... ...
- Ⅱ. 우주의 모든 신호를 잡아라과학동아 l2000년 08호
- 20세기 중반까지 천문관측은 가시광선에 한정돼 있었다.그러나 우주로부터 전파신호를 관측한 1944년 이후 우주를 볼 수 있는 창은 한층 넓어졌다.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눈에 보이는 모습으로 보여주는 전파망원경은 천문학의 새 장을 열었다.텔레비전, 라디오, 휴대폰... 우리 주변은 온통 전파의 ...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과학동아 l2000년 07호
- 무기로 15등성보다도 더 어두운 희미한 별과 은하들을 사냥하러 나서는 것이다. 1.8m 반사망원경은 바로 보현산 천문대의 간판이다. 심경진 천문대장을 중심으로 팀장인 전영범 박사, 한인우, 김강민, 형식, 천무영, 박병곤, 성환경 박사 등 박사급 연구원들이 7명이나 매달려 있고, 망원경 운전을 ...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슈미트 망원경이나 군사위성 추적·감시용으로 만들어진 GEODSS로 불리는 구경 1m(F/2) 반사망원경이 빛에 민감한 CCD 카메라와 함께 사용된다. 필름사용에 비해 1/3 넓이밖에 찍을 수 없지만, 아주 짧은 노출시간에도 18-20등급의 별까지 찍히기 때문에 맑은 날 밤이면 10시간 동안 전하늘의 60% 이상을 ...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수정처럼 투명한 구에 천체들이 박혀 있다고 생각하던 시대에 천체까지의 거리는 얼마나 될까하는 문제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거리이자 고민되는 문제였다. 그리스인들이 피타고라스 정리, 즉 직각삼각형의 기하학을 고안하기 전까지는 그 수수께끼를 풀 엄두를 내지 못했다.반달을 이용한 거리 ...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맨눈으로 달을 감상한 다음,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달의 지형을 살펴보자.달의 아름다움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이 달은 음력으로 한 해의 시작인 설날과 첫 만월인 정월 대보름이 있다. 달맞이를 하며 소원을 비는 설레임이 있는 달이다. 달은 매일 약 50분씩 늦게 떠오르면서 매일 밤 다른 모습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사자자리 유성우가 온통 별밤지기들의 마음을 뺏고 있는 11월이다. 조금 일찍 집을 나서 가족들과 함께 늦가을의 별자리도 익히고 쌍안경으로 숨어있는 아름다운 천체들을 찾아보자. 이것만으로도 취할 만큼 아름다운 가을밤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1. 목성과 토성목성(남중 : 밤 10시 28분)이 ...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과학동아 l1999년 10호
-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우며 표면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유일한 별이다. 다음으로 가까운 별은 센타우루스자리의 프록시마로 태양보다 27만배나 멀리 떨어져 있다. 태양계의 아홉 행성을 모두 합해도 태양질량의 7백50분의 1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태양의 질량은 크다. 매초당 지구에 다다르는 태 ...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소행성의 영어이름 Asteroid에는 '별과같은'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다른 행성처럼 태양 주위를 돌지만 크기가 너무 작아 망원경으로 보아도 크게 보이지 않고 희미한 별처럼 보이기 때문이다.근래 나온 몇 편의 SF영화에서 묘사된 소행성은 지구를 파괴하는 무서운 괴물로 그려진다. 물론 지름 수㎞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