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미래의 날씨를 오늘로 불러오는 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3호
기본 단위인 원자가 불안정할 때
빛
을 뿜어내는 것을 이르는 말이에요. 이렇게 나온
빛
은 물질을 통과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때 물질의 구조나 성질을 마음대로 바꿀 수도 있어서 위험해요 ... ...
[출동! 슈퍼M] “비바람에도 끄떡없는 우산이 있나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3호
우산은 90% 정도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지요. 양산이 없어 우산으로 햇
빛
을 가려야 한다면 검은색 우산이 더 효과적이랍니다! 용어 설명체감온도★ 사람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의 정도를 온도로 나타낸 것을 말해요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3호
우리은하의 가장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 ‘궁수자리 A*’가 위치합니다. 블랙홀은
빛
조차 빨아들이기 때문에 눈으로 볼 수 없지만, 대신 블랙홀 주변의 물질이 빠르게 회전하며 내뿜는 전자기파를 관측해서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어요. 지난 5월, ‘사건지평선망원경’ 연구팀은 전 세계에 ... ...
[숫자뉴스] 자세히 봐야 보인다! 0.5m 초소형 게로봇 등장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3호
로봇★ 중 가장 작아요.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연구팀은 레이저 빔(레이저 장치로 쏘는
빛
)으로 조종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을 개발했다고 지난 5월 25일 발표했어요. ‘게’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이 로봇은 옆으로 걷는 것은 물론, 제자리에서 돌거나 다리를 구부리거나 점프도 할 수 있어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거지요. 백열 전구는 전기 에너지의 95%가 열로 손실되기 때문에 형광등과 LED 전구가 같은
빛
을 낼 때보다 필요한 전력이 커요. 이 때문에 지금은 백열 전구가 점점 다른 LED 전구 등으로 대체되고 있답니다. 트라이아스기(Triassic Period) 중생대를 세 가지 시기로 나눌 때 첫 번째 시기를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전파가 늦게 방출된 것이 아닌지 살펴봤다. 물질은 블랙홀 근처로 갈수록 뜨거워지고
빛
을 낸다. 그런데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다 물질이 블랙홀 중력에 맞먹을 정도로 에너지가 커지면 블랙홀로 빨려들어가지 않고 튕겨나갈 수 있다. 연구팀은 조석교란현상이 발생한 이후 강착원반 에 머물러있던 ... ...
[헷갈린 과학] 모네의 정원에 핀 꽃은? 수련 VS 연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이 씨앗이 살아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늪지에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피어난 분홍
빛
연꽃에는 ‘아라홍련’이라는 이름이 붙었죠. ●소수성 : 물과 쉽게 결합하지 않는 성질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취조실에선 참관실의 약한
빛
이 잘 보이지 않아요. 대신, 매직 미러에 취조실의 강한
빛
이 반사되어 유리가 거울처럼 보이지요. 밤에 불 켜진 방에서 창밖을 보면 바깥 풍경보단, 거울처럼 창문에 비친 내 모습이 더 잘 보이는 것도 같은 원리랍니다. 반대로 컴컴한 밖에서 환한 집안은 훤히 들여다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원시 블랙홀 입자들이 우주 전공간에 퍼져 있을 것이다. 우주에 퍼진 무겁고 안정적이며
빛
을 내지 않는 입자. 바로 암흑물질의 특성이다. 힉스 연구가 더 이뤄지면 암흑물질의 강력한 후보인 원시 블랙홀의 미스터리도 자연스럽게 풀리지 않을까. 우리는 우주론과 입자가속기 물리학을 동시에 ... ...
[과학뉴스] 플랑크톤 3차원으로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빛
을 조사한 뒤
빛
이 굴절된 정도를 분석해 관찰대상의 홀로그램을 생성한다. 단 입자와
빛
의 상호작용 계산량이 방대해 지금까지 홀로그램 분석에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고자 AI 기술을 적용해 계산 시간을 대폭 줄였다. 그 결과 연구현장에서 플랑크톤 하나하나의 홀로그램을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