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
묘사
진술
표현
암시
기재
표시
d라이브러리
"
서술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방향까지도 제시하여 준 부르바키의 업적은 높이 평가되고 있다.또 부르바키는 책의
서술
에 있어서 가능한 한 평이한 용어를 골라 썼으며 그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평이한 언어로 쓰여졌기 때문에 이 논문은 심각하게 고려해볼 대상이 못된다고 하는 일부 수학자들에게 이들은 다음과 같이 ...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의 저자다.'과학과 메타과학'은 물리학과 직접 관련된 책이 아니라 과학철학에 대해
서술
한 책이다. 실제로 장교수는 최근 몇년 동안 전공인 고체물리보다 생명현상을 물리적 입장에서 이해하는 생물물리와 과학철학을 연구하는데 더 많은 정열을 쏟고 있다."물리학의 뿌리가 뭔가를 추적하고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그러므로 여기서는 그 논문들 가운데 몇 군데를 추려서 지면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서술
하고자 한다.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과학사가인 조셉 니담은 '중국과학사'에서 "감촉할 수 있는 물질로 응축된 기(氣)는 어떤 중요한 의미에서 단순한 개별적인 것이 아니고, 세계의 모든 다른 대상들과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약물 등 총 3백65종을 다루고 있다. 또 1백70종의 질병과 약을 처방하는 이론적인 기초도
서술
돼 있다. 중국에서는 신농본초경 이래 3백여종의 약물관계서적이 저술됐다.A.D.657년~659년 경에는 당초본이라는 모두 53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책이 나왔다. 이 책은 중국의 공식적인 약전의 효시로 알려져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자에 큰 비중을 두지는 않는다.
서술
형 문제가 나왔을 때는 무엇보다 출제의도에 맞게
서술
해야 높은 점수를 받는다. 출제교수들은 문제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아 감점당하는 사례가 많다고 충고한다. 가령 문제가 '몇 어절 내로 쓰라'고 하면 조건을 반드시 지켜주는 것이 채점자의 마음을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볼 수 있다. 혼돈과학적 방법으로 뇌파를 접근할 때 얻어지는 결론들은 과학적인
서술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조물주는 혼돈상태를 좋아한다(?)매일같이 뇌파검사실에서 기록되는 따분한(?) 뇌파의 이면에, 냄새를 맡을 때, 잠들 때, 깨어있을 때 근본적으로 위상공간에서의 구조가 달라지는 혼돈과 ...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입자에 이르기까지 수만가지 발견, 발명의 이야기로 세계사를 읽어 나가는 부어스틴의
서술
방식에 대해 일부 평론가들은 '빗속을 출발하는 버스를 타려고 달려가다가 손에 든 옷가방이 그만 벌어져 황망하게 다시 가방을 챙기려는 사람과 같은 인상을 준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아무튼 옥스포드와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과학에서부터 현대 과학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전 역사를 날카로운 역사의식으로
서술
하고 있다. 특히 근대과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저자의 통찰력은 매우 놀랍다. 이 책을 읽는 동안에 사람들은 과학이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과정에 대해 이해하게 되는 것은 물론 우리보다 먼저 살았던 사람들이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지구상 남반구에서 시작됐더라면 시계 방향은 틀림없이 반대로 정의됐을 것이다(이
서술
도 결코 이해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이제 천체의 시운동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예문에서 천문학적으로 틀린 곳 다섯군데를 모두 찾아내 보자.…자정이 막 지난 초여름밤, 창백한 초승달 바로 ... ...
과학수업이 입시와 교과서라는 틀에만 묶여있어야 합니까?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힘든 내용이기 때문이다. 또 유전단원은 우리의 생활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고 재미있게
서술
될 수 있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입시문제에 거의 매년 이 부분이 출제되면서 어려운 내용이 포함됐다.발생과정을 직접 실험해보지 못하고 교과서의 어설픈 그림을 통한 수업이 시작되었다. 흑판에 그림을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