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상세
면밀
세심
명세
내역
내용
d라이브러리
"
세밀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다. 1백55개 후보지역이 이 조건에 맞았다. 마스글로벌서베이어와 마스오디세이의
세밀
한 표면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착륙지점이 결정됐다.스피릿은 화성의 적도 남쪽에 위치한, 한때 호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구세프 분화구에 착륙했다. 만약 그곳이 호수 바닥이었다면 지표면의 암석에는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긁어낸 후 산으로 부식시키면, 긁어낸 부분이 부식정도에 따라 새겨지는 기법이다 주로
세밀
한 선으로 표현할 때 쓰이는 방식전자구조에 입각한 원소분류의 하나로 전형(典型)원소에 대응, 전이원소 혹은 모두 금속원소인 까닭으로 천이금속이라고도 한다 현재는 원자의 전자구조에 있어서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떨어져 있는 사람이 손으로 느낀 촉감, 즉 어떤 물체가 원형인지 사각형인지까지의
세밀
한 감각을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이 기술은 본래 시각 장애인들도 인터넷과 컴퓨터를 쉽게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됐다. 화면을 눈으로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들이 컴퓨터 앞에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방식에서는 피트는 그 빛의 파장에 반비례한다. 즉 파장이 짧을수록 레이저빔은
세밀
한 펜이 되는 것과 같다.따라서 앞으로 DVD에서 정보밀도를 높이려면 파장이 짧아진 레이저빔에 반응하는 유기색소 물질이 필요하다. HDTV 정보를 저장할 목표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15-25GB급 차세대 DVD는 4백nm 파장의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뛰어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김 교수는“생체분자와 물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
세밀
한 과정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며“초저온 상태에서는 물과 생체분자가 단단하게 결합돼 있기 때문에 여기서 얻은 자료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작은 부분을 선택해 강력한 망원경으로 약 1만개의 은하를 찾아냈고 이 은하들의 밝기를
세밀
하게 측정해 개개의 은하에 포함된 별들의 수를 계산해냈다. 그 다음에 전체 밤하늘로 확장했고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 고려했다. 그래서 나온 숫자가 7천억의 1천억배다.드라이버 박사는 현재망원경이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해하기 위해 1927년에 W 하이젠베르크가 유도한 원리 양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
하게 규정한 순수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후계자 그는 이것을 미분방정식을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방식으로 나노세계로 접근해가고 있다. 하나는 원래 큰 덩어리였던 것을 나노수준으로
세밀
하게 새기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단위가 되는 블록으로 쌓아서 만드는 방식이다. 전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쪼개나간다고 해서 ‘top-down’(하향식)이라고 하고, 후자는 아래에서부터 쌓아올리면서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객관적 검증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구체적이고
세밀
한 검토가 필요하다.이와는 반대로 안개입자를 증발시켜 제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액체상태의 물을 기체상태로 바꾸려면 가열을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증발을 통한 안개 제거에는 많은 양의 열이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확대 사진을 촬영한 다음, 그 이미지를 소프트웨어에서 합성하는 방법을 이용해 보다
세밀
한 부분을 찍어내는 것이다.올해 2003년의 화성 대접근은 이런 방식이 적용되는 첫번째 대접근인 만큼,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아마추어들의 손에서 쏟아져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