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퀴즈
퍼즐
질문
문제
알아맞히기
난문제
조각맞추기
d라이브러리
"
수수께끼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유전물질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변환원리는
수수께끼
였다. 단순히 일시적으로 R형을 S형으로 변환하는 물질이 아니었다. 변환된 박테리아의 후손과 그 이후 세대에 무한히 유전됐다. 일단 R형 폐렴구균이 S형으로 변환되면 그 후손과 이후 세대는 모두 S형이었다.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기껏해야 2% 밖에 다르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지금처럼 진화할 수 있었는지는 큰
수수께끼
다. 최근 가능성 있는 답 하나가 공개됐다. 바로 엔도르핀의 차이다.미국 듀크대 그레고리 워레이 교수는 인간과 침팬지가 모두 갖고 있는 한 유전자를 연구했다. 이 유전자는 ‘프로디노르핀’이라는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빅뱅 직후 5억년 안팎이다. 우주 초기에 어떻게 은하가 탄생했고 진화했는지 여전히
수수께끼
다. 그는 “서브밀리미터파 연구가 해답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천문학이라면 아이 러브 에브리씽 - 윤민수1979년 미국으로 이민 온 윤 교수는 고등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지낸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크릭이 로잘린드 프랭클린의 X선 사진을 보지 못했다면 DNA으 구조는 지금까지도
수수께끼
로 남아있었을지 모를 일이다. 열 명의 말이나 열 장의 글보다 단 하나의 이미지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과학 분야에서 관찰한 사실이나 연구결과를 얼마나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지가 중요한 ... ...
광야에서 외치는 고독한 예언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위해 뭘 할 수 있을까 고민했어요. 전 환경에서 길을 찾았습니다.”최근 ‘생명과 환경의
수수께끼
’라는 책을 펴낸 한겨레의 조홍섭(48) 기자를 만났다. 20년 동안 환경 분야를 취재한 내공도 그렇거니와 황소개구리, 매향리 미군 사격장 등 굵직굵직한 특종을 보도해 국내에서 첫 손가락에 꼽히는 ... ...
달하 노피곰 도댜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찧는 모습이다.지금은 우주선이 달에 가서 그 뒷면을 찍어온 탓에 달의 뒷면에 대한
수수께끼
는 풀렸다. 달의 뒷면에는 앞면에 비해 검은 바다 부분이 적고 크레이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그럼 우리는 정확히 달의 앞쪽 절반만 볼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달은 약간 흔들리면서 지구 주변을 돌고 ... ...
미션 투 스페이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매년 수차례 지구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혜성의‘보물창고’가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
를 풀어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 ...
밤하늘에 쏟아지는 우주폭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눈물일까, 오리온이 흘린 피일까. 사실 폭포처럼 보이는 이 천체는 천문학적으로도
수수께끼
로 남아 있다. ‘HH222’라 불리는 우주 폭포는 모양이나 생성 원인이 모두 신비한 베일에 가려져 있다. 다만 폭포수가 다시 튀어 오르는 형상을 한 곳은 설명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곳에서 붉은 색의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표준어는 ‘쥐라기’지만 영화는 ‘쥬라기공원’으로 번역됐다).공룡에 대한 가장 큰
수수께끼
중 하나는 중생대를 지배한 공룡이 왜 갑자기 멸종했냐는 것이다. 거대한 소행성이 멕시코 유카탄 반도 앞바다에 떨어져 지구 규모의 해일과 지진, 화산 활동을 일으켰다는 설이 잘 알려져 있지만 기후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논리적으로 대단히 단순하고 간단했음에도 연주시차의 증명은 의외로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였다. 이상하게도 실제로 연주시차를 보이는 별들이 하나도 없었던 것이다.연주시차를 검출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망원경을 사용한 체계적인 시도는 17세기 말 영국의 천문학자였던 훅에 의해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