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번갈아 맨 앞에 나오도록 순환배열 하죠. 후보가 A, B, C 세 명이라고 할때 ABC, BCA, CAB 순으로 적힌 3가지 유형의 투표용지를 배부합니다. 모든 투표용지의 한 귀퉁이에는 일련번호가 찍혀 있습니다. 올해는 일련번호가 찍힌 위치와 절취하는 절취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뀌었습니다. 투표지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물권에서는 탄소화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탄소는 다양한 형태로 여러 권역을 순환하면서 지구 시스템에 영향을 준다. 가령 지권에서는 화산 분출로 마그마에 들어 있던 이산화탄소가 기권으로 방출되면서 지구내부에너지를 방출한다. 해수(수권)에 있던 탄산이온은 칼슘이온과 결합해 ... ...
- [특별 페이지] 미리 보는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하고, 비디오 판독을 제안하는 게 사람이기 때문에 인간적인 오류를 완전히 배제할 순 없을 겁니다. 하지만 억울한 판정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적극 찬성이에요. 이번 월드컵에서 처음 도입된 헤드셋은 독일처럼 원래 전술 분석을 잘 하는 나라일수록 더 유리할 거라고 생각해요. Q. F조 최약체로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다. 물론 북한의 수학 용어가 모두 좋은것은 아니다. 한자어나 외래어를 너무 억지로 순 우리말로 바꾼 경우도 있다. 북한의 수학 용어가 처음에는 생소하고, 어색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통일한국의 학생이 한 교실에서 수학을 공부하려면, 용어는 반드시 통일해야 한다. 처음에는 이상하게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 크기를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라고 부르지요. 한편 관측할 순 없지만 그 너머의 우주 공간도 있을 거예요. 아직 관측되지 않은 빛은 지구에 도착할 만큼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았거든요. 따라서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더 먼 은하에서 빛이 도착하고, 더 먼 우주를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상 말을 할 수 없는 존재, 죽은 사람이 돼버리기 때문이다.상상만 하던 오싹한 죽음의 순간을 대신 체험하게 해준다는 기발한 책이 나왔다. 책 ‘그리고 당신이 죽는다면’은 죽음을 주제로 실험한 괴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맞닥뜨릴 수 있는 45가지의 죽음 시나리오를 ... ...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의 ‘진짜’ 의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위 표).결국 지원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순 등급이 비교과 요소와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얼마나 학생의 강점을 드러내는지가 중요하다. 즉, ‘이 정도 등급이면 어디까지 지원이 가능하나요?’라는 수험생들의 물음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정성평가를 정량적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한편 때에 맞춰 월경이 찾아오지 않는 생리불순도 흔히 나타난다. 사춘기의 생리불순은 주로 뇌하수체가 아직 성숙하지 않은 탓에 생기는 무배란성 무월경 형태가 가장 흔하다. 무배란은 무월경도 일으키지만, 부정출혈과 같은 지속적인 출혈도 유발한다. 성숙하면서 자연스레 좋아지는 경우가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각각 1, 2, 3으로 표시하고, 메뉴는 카페모카, 카푸치노, 캐러멜 마키아토, 아메리카노 순으로 1, 2, 3, 4로 표시했다고 해보죠. 이제 이름과 메뉴명 대신 번호를 이용하면 이 함수는 f (1)=2, f (2)=3, f (3)=4라고 표시할 수 있어요. 어떤가요? 길이가 짧아졌다는 게 가장 눈에 띄지만, 더 좋은 점은 저, 다솔,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측정하는 기술의 발전도 매우 129중요하다. 조윤경 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혈액에서 순환종양세포(CTC·Circulating Tumor Cells)를 효과적으로 분리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암 조직에서 떨어져 나와 핏속을 떠다니던 CTC가 다른 조직에 부착해 자라면 전이암이 발생한다. 이 세포를 미리 찾아내면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