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d라이브러리
"
시각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그려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2012년 이정희 한양대학교
시각
디자인학과 연구원이
시각
디자인 전공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상위권으로 뽑힌 6개 캐릭터 중 41%의 얼굴과 몸의 비율이 √2에 가까운 1:1.414에서 √3(약 1:1.732)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머리가 크고 몸통이 작은 2등신 ... ...
[때문에 과학] 1탄. 꿀잠 좌우하는 심부 체온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수용체와 냉각 수용체는 주변 기온을 감지한다. 이 정보는 뇌에서 체온 정보를 취합하는
시각
교차앞-전시상하부(PoAH)라는 곳으로 보내진다. PoAH는 다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여러 뇌 부위와 연결돼 결과적으로 수면에 영향을 주는데, 아직 그 기작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고 일부만 알려졌다.올해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전지전능한 좀비 바이러스는 존재할 수 있을까요? 좀비 바이러스는 후각을 마비시키고
시각
에 크게 의존하게 만드는데, 그렇게 바뀐 좀비의 눈동자는 어째 어색합니다. 좀비의 아이콘이 된 ‘각기춤’을 추는듯한 움직임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조목조목 짚어 드립니다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최소한의 살길을 열어준 것은 이야기 전개상 꼭 필요한 설정인 듯하다. 다만
시각
에 의지해 사람을 쫓는 좀비의 눈 속 동공이 심한 백내장을 앓듯 하얗게 변색된 설정은 과학적으로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 최경식 순천향대 서울병원 안과학교실 교수는 “동공이 혼탁하면 밖에서 들어온 빛이 망막 ... ...
[한페이지 뉴스] ‘전지적 곤충 시점’ 보여주는 로봇 카메라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스마트폰으로 무선 조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쓰는 곤충의
시각
방식을 모방했다. 가령 파리는 먹이처럼 또렷하게 주시해야 하는 물체가 있을 때 그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주변부는 겹눈으로 보면서 에너지를 아낀다. 연구팀은 팔이 달려있어 60도 이상 회전할 수 있는 248mg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취리히) 수학과 교수는 스위스 중고생을 대상으로 외계인도 바로 알 수 있는 수학 개념을
시각
화하는 우주 경연대회를 열었어요. 슬러바브 교수는 “외계인에게 전할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우주탐사선에 실어 보내는 걸 보고 영감을 받았다”며, “수학이란 전혀 대화가 통하지 않은 사람들끼리도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고래가 더 수입되지 않고 있어요. 이 개정안에서는 ‘작살이나 덫을 이용하거나 청각,
시각
을 자극하는 등 잔인한 방법으로 잡힌 야생생물’의 거래를 금지해요.* 그런데 일본 타이지 마을 등지에서 잡힌 고래 등이 여기에 해당되죠.나아가 고래를 보기 위해 바다로 직접 찾아가는 ‘생태 관광’이 ... ...
[동상이문] 7화 '첨벙 첨벙' 여름이 떠오르는 '더 큰 첨벙'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잘 모르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그래프로 만들면 자료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시각
화는 수학의 주요 과제지. 미술관에서도 수학을 사용한다니, 너 지금 신기해하고 있지? 그것 봐~, 나랑 다니면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니까! 후훗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독특한 구조 덕분이다. 하지만 그동안 로봇공학 분야에서 사람의 눈을 모방해 만든
시각
장치는 대부분 납작한 전자칩 모양이었다. 눈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홍콩과기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실제 사람의 ... ...
문화재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국제한국학과 웨인 드 프레메리 교수는 황진이의 시조를 이용해 시조의 변화 모습을
시각
적으로 보여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이를 위해 ‘유니코드’를 사용했지요. 유니코드는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쓸 수 있게 만든 국제적인 문자코드로, 약 13만 8000여 자를 표현할 수 있어요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