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752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별 2011 토끼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때문에 함부로 만지거나 잡으면 안 돼요눈토끼의 눈은 양옆에 달려 있어 360°에 가까운
시야
각을 갖고 있어요. 이 때문에 사방을 모두 살필 수 있죠. 반면 얼굴 앞쪽에 가까이 있는 물체는 잘 보지 못해요.꼬리토끼의 꼬리는 대부분 짧고, 털이 많이 뭉쳐져 있어 동그란 솜뭉치 같이 보여요. 토끼가 ... ...
파리 눈 닮은 똑똑한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된 겹눈으로, 각각의 낱눈은 모두 다른 곳을 향하고 있어요. 그래서 파리는 270°의 넓은
시야
를 가지고 있고, 눈으로 빛을 모으는 능력도 탁월하답니다.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아크레쉬 라카타키아 교수팀은 이런 파리 눈의 표면을 그대로 본뜰 수 있는 틀을 만들고, 이 틀에 250nm 두께의 니켈을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들어오게 한다. 공포 대상을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서다. 순간 들어온 많은 빛 때문에
시야
가 흐려질 때도 있다. 땀도 많이 난다. 땀은 몸을 미끄럽게 해서 공포 대상으로부터 쉽게 붙잡히지 않게 한다.반면 침의 양은 줄어 입 안이 마른다.쿵쾅거리는 심장에 가빠지는 호흡심장 박동이 빨라지면서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그 동안 많은 부분이 현실이 됐습니다. 다가올 30년 역시 마찬가지일 겁니다. 긴
시야
를 갖고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황 교수는 고등학생인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기에 ‘도전해 보라’고 권했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 분야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성능 향상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실을 졸업한 후, 조금 더 넓어진
시야
로 바라본 플라스마 공학의 미래는 매우 밝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 핵융합 연구의 중요한 기반 장치가 될 KSTAR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플라스마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밖에 없는 법. 초록뱀은 머리와 몸을 살살 흔들어 풀잎처럼 보이도록 연기해 천적의
시야
에서 벗어난다. 물론 지렁이와 작은 곤충, 애벌레 같은 먹잇감에게 다가갈 때도풀을 닮은 외모 덕을 톡톡히 본다.진화론에 한 획을 그은 후추나방잔뜩 벗겨져 검은 속이 드러난 하얀 나무껍질, 자세히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들어지지 않고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움직이는 유기체”라면서 “크고 넓은
시야
로 최소 2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매년 수정하면서 방향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는 규모가 커질수록 정체성이 희미해지기 쉽다”면서 “문화와 역사 등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어린이가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차를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니까!어린이는 어른보다
시야
가 좁다. 어른은 150°를 볼 수 있지만 어린이는 90°를 벗어난 쪽을 보려면 고개를 돌려야 한다. 그래서 횡단보도에 서 있을 때 주변을 살피는 데 불리하다. 또한 어린이는 시청각 정보에 반응하는 운동 ... ...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또 연구자는 문제를 푸는 것으로 강한 힘과 새로운 방법과 발전가능성, 자유로운
시야
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제시된 문제 중 하나라도 해결하면 20세기의 수학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문제를 제시하는 이유를 밝혔대. 힐베르트는 강연 때 시간이 허용하는 대로 열 가지 문제만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포뮬러 원) 머신의 최고 속력은 시속 360km에 이른다. 시속 200km만 돼도 드라이버의
시야
가 흐려지는데, 시속 360km이면 머신에 날개가 있을 경우 이륙할 수도 있다.머신을 초고속으로 달리게 하는 힘은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에서 나온다. F1 머신의 엔진은 8기통 2.4L를 사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