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쪽"(으)로 총 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수위다. 빗물이 몰려들면서 갑작스레 수위가 높아졌다가, 최고점을 찍고 점점 낮아진다. 아래쪽의 주황색은 원래 강에 흐르고 있던 물의 높이로, 천천히 높아졌다가 조금 늦게 원래의 수위를 되찾는다. 이 그래프는 비가 온 양과 유역의 크기 등에 따라 높이와폭이 달라진다. 이런 수문 곡선을 ...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오른쪽으로 번호를 배열하면서, 한 칸씩 위로 갈수록 번호가 커지는 방식이다. B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번호를 쌓으면서 한 열씩 오른쪽으로 갈수록 번호가 커지는 방식이다. C는 왼쪽 아래부터 지그재그로 올라갈수록 번호가 커지는 방식이다.3가지 방식에 대해 사람들이 원하는 층 버튼을 누르는 ...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변했다. 첫 번째 새궁은 두개골의 일부, 두 번째 새궁의 위쪽은 위턱(palatoquadrate bone), 아래쪽은 아래턱(mandible)이 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세 번째 새궁은 두개골과 아래턱의 일부로 변했다. [무악어류의 현생종인 칠성장어(➋)와 입(➊)의 모습.][무악어류에서 유악어류로 진화하는 중간단계에 ... ...
- Part 1. 기다림의 과학, 재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국내에서 수술 받았다. ➍는 ‘8자 매듭법’으로 건강한 인대를 부상 팔꿈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두개의 구멍을 뚫고 8자 모양으로 끼우는 방식이다.][제2회 월드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한 야구대표팀의 전지 훈련 모습. 재활 과정뿐만 아니라 부상이 없을 때도 꾸준히 근력과 유연성 훈련을 해야 ...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로이 할러데이의 2010년 투구 분포도를 보면 좌우 타자를 막론하고 스트라이크 존 아래쪽과 존의 구석구석으로 공을 던진 것을 알 수 있다. 그가 메이저리그를 제패할 수 있었던 날카로운 제구력을 확인할 수 있다.투구 분포도를 이용해서 심판의 스트라이크 존 판정 성향도 알 수 있다. 2010년에서 201 ...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얼마 지나지 않아 밀러는 이 속에서 뭔가 대단한 일이 일어나고 있음을 직감했다. 아래쪽 플라스크의 물 색깔이 하루만에 핑크색으로 바뀌더니 시간이 지날수록 짙어져 일주일 뒤에는 짙은 붉은색의 탁한 용액이 됐기 때문이다.밀러는 이렇게 만들어진 물질을 종이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했다. ...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9호
- 1번 선수와의 거리이고, x는 선수 간 거리이며, 위쪽에서 노를 저어 생기는 힘의 방향을 +, 아래쪽에서의 힘을 -라고 한다. M은 (배 앞에서 노까지 거리)×(방향을 고려한 힘)을 모두 더한 값이다. 여기서 선수들의 힘은 모두 같고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단, 단위는 생략한다.M = sF+(s+x)(-F)+(s+2x)F+(s+3x)(-F) = ...
- 내 얼굴에 꼭 맞는 안경 찾기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위쪽 끝에 포인트가 있는 것을 선택하면 턱으로 갈 시선을 눈 쪽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아래쪽은 테가 없고 둥근 형태를 택하면 안경의 위쪽이 강조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역삼각형의 얼굴은 눈썹 끝에서 세로로 내린 선과 입술 선을 가로지르는 선이 만나고 턱 끝이 계란형 얼굴보다 각진 ... ...
- PART 1. 공진은 무서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계속 겹치면 에너지가 증폭돼 큰 진동이 되고 흔들림은 심해진다. 건물 상층부가 아래쪽보다 더 흔들린 것은 위로 올라갈수록 진동이 증폭됐기 때문이다. 건물 하층부는 지면 아래의 단단한 암석에 고정돼 있어 진동이 줄었다.일단 태보로 건물에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은 증명했지만, 그래도 ...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그 안에서 거품이 생겼다가 터진다. 이때 순식간에 압력이 대기압의 1만 배까지 올라가 아래쪽 고무막을 밀고 그 힘으로 약물이 노즐로 나오는 것이다. 여 교수는 “노즐로 나오는 약물 줄기가 주삿바늘보다 가늘어 신경을 건드릴 확률도 낮고 설사 건드려도 약물 줄기의 이동 속도가 초당 100~200m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