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 무게는 6론나그램, 새 접두어 4개 도입과학동아 l2023년 01호
- 010년부터 비공식적으로 헬라라는 접두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는 이어 “론토와 퀙토는 양자과학과 입자 물리학에서 아주 작은 것을 측정할 때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접두어 도입으로 매우 크거나 작은 물체를 간단히 표현할 수 있게 됐다. 가령 지구의 질량은 6론나그램, 목성의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KIURI 연구단 조현석 연구교수는 “수소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지만, 태양광 집열판(CSP)를 활용해 1500℃ 이상 환경에서는 촉매를 통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수증기에서 수소를 얻을 수 있다”라며 그린수소 생산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음을 강조했어요 ... ...
- [꿀꺽! 수학 한 입] 흩어지면 느리고 뭉치면 빠르다! 과자는 모두 몇 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이 조각을 사용하면 물건을 사고팔 때 편리했어요. 만약 양 10마리를 거래한다면, 양을 10번 그릴 필요 없이 ‘10’을 나타내는 작은 구슬 조각 하나만 보여주면 됐거든요. 1을 의미하는 작은 고깔이 10개 모이면, 10을 의미하는 작은 구슬 1개로 바꿨어요. 또, 작은 구슬이 6개 모이면 60을 의미하는 큰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일종인 마이크로파로 변환해서 무선으로 지상에 내려보내죠. 지상에 설치된 접시 모양의 안테나가 마이크로파를 받아서 다시 전기로 바꾸는 거예요. 상용화에 충분한 기술이 갖춰졌나요?지금 당장 솔라리스 프로젝트를 실현하기는 힘들겠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가능할 거예요. 솔리라스 ... ...
- [광고]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분리배출과 재사용, 재활용을 꾸준히 잘 실천하고, 기후행동 1.5℃ 앱으로 지구를 위한 다양한 실천들을 꼭 할 것이라고 다짐했답니다. 기후행동 1.5℃ 토크콘서트를 다녀와서조연준(내발산초)탄소중립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는 토크콘서트에 다녀왔습니다. 토크콘서트는 탄소중립에 관한 설명으로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미국 뉴욕의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1년간의 ‘구글 트렌드’와 기상 정보를 활용해 다양한 기상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겨울 외투 수요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를 2022년 7월 발표했어요. 구글 트렌드는 구글 포털사이트에서 해당 키워드의 검색 빈도수를 나타내요. 겨울 외투의 검색 ... ...
- [과학뉴스] 뜨는 똥, 가라앉는 똥 장내 미생물이 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부력이 대변이 함유한 가스양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가스양의 차이를 만드는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무균 쥐로 장내 미생물의 역할을 연구하던 중 배설물이 모두 물속에서 가라앉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적인 쥐의 배설물은 절반가량만 가라앉는 것과 ... ...
-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 몸체는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어올랐다가 다시 공기를 빼면 수축한다. 양 날개는 몸체가 일정 수준 이상 부풀어 올랐을 때 구부러졌다가, 몸체가 수축하면 다시 반대로 구부러지도록 만들어졌다. 기존의 소프트로봇은 날개에 무거운 모터를 부착해 구동했지만 나비봇은 몸체에 공기를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022년 10월 28일 다누리가 지구로 한글 메시지를 보내왔다. 8월 5일 지구를 떠난 다누리가 태양-지구 L1 랑그랑주 점까지 항해한 뒤 궤도수정을 거쳐 다시 지구와 달을 향해 돌아오던 날의 일이었다. 이날 다누리는 지구로 한글 메시지를 보냈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도 성공했다. 2022년 1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원자와 결합한다(이때 결합 원리는 자유 전자가 금속을 돌아다니며 원자를 이루는 양이온들을 결합시키는 금속 결합이다). 이 과정이 원자 수백억 개에서 줄지어 일어나는데 전자현미경상에서는 실처럼 보인다. 이것을 ‘전위(dislocation)’라고 부른다. 반면 도자기의 재료인 세라믹은 원자들이 일정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