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릇
담력
원기
용감
기운
무용
용맹
d라이브러리
"
용기
"(으)로 총 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않도록 도와준다. 0℃에 가까운 냉장고 내부 온도 덕분이다. 김치냉장고는 김치를 담은
용기
와 냉장고의 외벽을 딱 붙여 냉기가 김치에 직접 전달되도록 설계했다. 마치 흙속에 파묻은 김장독처럼 말이다. 봄과 여름이 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올라가는 땅속과 달리 김치냉장고는 1년 내내 이 기온을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존재하는 게 마치 기정사실인양 말하고 있습니다. 밀봉은 또 뭡니까? 사람이 무슨 락앤락
용기
인가요?혹시 한의원을 사칭한 가짜 병원일까 하는 의심이 들어서 원장의 약력을 찾아봤습니다. 유명 한의대를 졸업해서 박사학위까지 받은 사람입니다. 저서도 몇 권 있고요. 이게 사실이고 이 한의원이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했다. 김 교수는 청소년들이 논문을 쓴다고 하면 무작정 시간을 내준다. 아이들한테
용기
를 줘야 하기 때문이다. 한번의 기회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열정적으로 해야 할 일을 못찾는 것이 문제입니다. 동료나 교사, 부모들이 찾아줘야 합니다. 성실과 끈기는 기본적으로 몸에 배어야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부대 선임들을 모두 제치고 대상을 탔다. 막상 실력을 인정받고 나니, 새로운 목표와
용기
가 생겼다. ‘아, 내가 무언가를 집중해서 하면, 이룰 수 있구나!’ 이렇게 우연한 기회에 큰 깨달음을 얻었다. 이때가 그의 인생의 전환점이 됐다. 진학보다는 취업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전산학’에 ... ...
[과학뉴스] 토성, 타이탄에서 플라스틱 재료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재료인 프로필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프로필렌은 음식을 담을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용기
나 합성 섬유, 자동차 범퍼 등 우리 생활 주변에서 폭넓게 쓰이는 유기화합물이다.타이탄의 대기에는 탄소와 수소로 이뤄진 유기 가스가 가득하다. 탄소 1~2개로 이뤄진 메탄이나 에탄 같은 가벼운 기체는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용기
가 필요합니다. 학창 시절부터 뭔가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용기
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창 시절은 뭘 해도 용서가 되는 시절 아닙니까.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사람들을 만나 많은 조언을 받은 뒤에 생각이 바뀌었지요. 40대가 된 뒤에는 창업할
용기
가 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아 창업을 결심했습니다.” 걸림돌을 걸림돌이라고 생각하지 않아VM은 2008년부터 준비를 시작해 2010년 10월에 정식으로 세운 회사다. 준비 기간부터 따져도 5년밖에 되지 않는 신생 ...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폴은 자신이 다쳤음에도 피타 걱정부터 하고 있었다. 이를 보고 하루는 분노와
용기
가 솟았다.“이 봐! 우린 정말 그런 계약을 한 적이 없다고! 누군가 우리 모두를 속인 거야!”동전맨은 잠시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했다.“분명 같은 모습이었는데. 뭔가 느낌이 다른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계약은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에스허르의 그림을 본 선생님이 미술을 계속 해 보라며 에스허르를 격려한 것이다.
용기
를 얻은 에스허르는 이때부터 미술에 몰두하게 된다.재능을 인정받고 미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지만, 에스허르의 작품이 처음부터 대중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화려하지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연간 방사선량 피폭 한계(1mSv)를 562배나 넘기는 수치다.도쿄전력은 “원자로 격납
용기
부근으로 스며든 빗물이 온도가 높아져 수증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설명하지 못했다. 백색 수증기는 곧 사라졌지만 한국에서는 ‘후쿠시마 괴담’이 나오기 시작했다.7월 22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