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중"(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내용을 담았다. 진 씨가 참가할 당시에는 전 세계 97개국에서 계획서 1437편이 접수됐다. 이중 결선에 오른 계획서는 고작 14편. 여기에 진 씨 팀의 계획서가 포함됐고, 최종심사를 거쳐 결국 아시아 수상팀으로 선정됐다. 그런데 상을 수상한 뒤가 대회를 준비할 때보다 더 힘들었다. 그는 “친구들과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단어와 사진 11장이 포함됐다. 유럽생물정보학연구소(EBI)는 셰익스피어의 시 154편,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낸 프랜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의 논문 등 65만 바이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DNA에 담았다가 이를 다시 100% 복원하는 데 성공해 2013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대장균 유전체에 동영상 저장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9도)에 이르는 남극해에 산다. 남극어류는 다섯 종의 아목, 대략 120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중 남극암치아목(Notothenioids)이 90% 정도를 차지하며, 생물량도 남극해 전체 어류의 약 90%를 차지한다. 유전체로 밝힌 동결방지단백질의 비밀_(박현)이들 어류들은 남극이라는 특별한 서식 환경에 적응하도록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수 있게 한 것이다. 모든 결제 기록이 순서대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이중 지불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필요하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그런 관리자를 선정할 수 있는지도 따져봐야 하지만, 그런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아데닌(A), 타이민(T), 구아닌(G), 사이토신(C) 등 네 가지 염기로 구성된다. 네 가지 염기는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며 특정 염기들이 서로 결합(A와 T, G와 C)을 하는데, 이런 결합을 상보적 결합이라고 한다. 새로운 시대의 시작, 신소재 인간이 어떤 물질을 다루는지는 그 시대의 생활수준을 알려주는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속력을 높이기 위해 팔뚝과 손목의 회전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물리학적으로는 이를 ‘이중진자 모델’로 해석한다. 진자는 고정된 한 축이나 점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한다. 진자 운동으로 해석하면 테니스 스윙에는 두 개의 진자가 관여한다. 팔꿈치를 중심으로 하는 팔뚝의 회전과, 손목을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독감 환자가 10배나 늘었다. 전국 소아청소년과는 독감 환자로 북새통을 이뤘다. 하지만 이중 절반 정도는 이미 독감 백신을 맞았다. 독감 백신은 왜 먹통이 됐을까. 이례적으로 빨리 찾아온 B형 바이러스이번 독감은 B형 독감이 A형 독감과 동시에 유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독감을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7년 12월 12일자에 실렸다.doi:10.1038/s41467-017-01852-2 레이어드 라테의 생성 원리는 ‘이중 확산 대류(double diffusive convection)’ 현상이다. 섬세한 라테 층은 에스프레소와 우유의 밀도 차에 의한 확산 현상과, 온도에 따른 우유 자체의 확산 현상이 복합적으로 이뤄낸 결과물이다. 밀도차에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미시세계에서는 전자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 책은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이라는 코너를 연재한 뒤 여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김 교수는 양자역학을 ‘동네 어르신도 이해할 수 있는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움직일 수 있으며 모든 방향으로 대포가 달린 탱크, 외부 선체가 파손돼도 안전한 이중 선체 등이 좋은 사례다. 뿐만 아니라 레오나르도는 물리학과 기계 장치의 숨겨진 원리에도 관심이 깊었다. 기계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그는 볼 베어링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