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적
자취
자욱
상처
얼룩
자죽
기색
d라이브러리
"
자국
"(으)로 총 748건 검색되었습니다.
CSI 수사체험 ‘피의 흔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③ 두 개의 천조각 중 하나는 수돗물만으로, 나머지 하나는 세제를 이용해 혈흔
자국
이 눈에 보이지 않을 때까지 깨끗이 세척한다. ④ 조명을 꺼 주변을 어둡게 한 다음, 각각의 천 조각에 루미놀 용액을 분무해 반응을 확인한다. 범인이 범행을 저지른 뒤 착용했던 옷이나 신발에 묻은 혈흔을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살랑살랑~ 나뭇잎 연기의 달인 잎사귀대벌레길이는 약 12cm, 누군가 갉아 먹은
자국
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둥글납작한 부채 모양이며 연두색을 띤다. 가운데에는 굵은 잎맥이 가로지르고 거기에서 가지처럼 작은 맥이 양옆으로 뻗어 나온다. 끝부분에는 갈색의 얇고 가느다란 자루가 돋아 있다.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후예라는 좋은 증거가 됐답니다. ▲ 스테판 게이트시 교수팀이 육식공룡 수각류의 발
자국
을 분석해 걸음걸이를 재현한 영상(ⓒStephen Gatesy).대륙 중심에서 공룡을 찾자!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의 끝 부분에 위치해 있어요. 그래서 중국이나 몽골처럼 대륙 한가운데에 있는 땅보다 지각변동이 심했고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올라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실제로도 사다리 고리를 걸쳤던 흔적처럼 보이는
자국
이 아직 남아 있는 상태다. 사다리를 이용해 내부로 들어가면, 12단까지 흙이 차 있다. 그 위로는 속이 빈 원통처럼 생겼고, 원통 내부로 뻗은 돌의 넓이가 각기 달라서 안에서 보면 들쭉날쭉하다. 실제 관측이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따위를 찾아내 잡는다. 빨판은 힘이 매우 강력해서 사람 피부에 붙었다 떼어내면 빨갛게
자국
이 남을 정도다.밤바다 최고 사냥꾼의 희생적인 자식 사랑문어는 야행성이므로 낮에는 바위의 구멍 등에 숨어있다가 밤이 되면 활발하게 움직인다. 문어가 활동을시작하면 밤바다에는 공포의 기운이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는데, 눈 표면(설면)을 살짝 얼리면 마찰력이 작아져 속도가 높아진다. 또 표면에 스키
자국
이나 돌출이 생기지 않아 오히려 안전하다. 60~70개의 기문을 통과하는 ‘회전’경기는 이동 경로를 줄이기 위해 직선에 가까운 턴을 한다. 이때 스키 날을 설면에 세워 원심력을 극복하고 스키의 탄성력을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점차 증강하고 있다.중국은 2003년부터 유인 우주선 발사를 연이어 성공시켰고, 2006년에는
자국
상공을 통과하는 미국 정찰위성에 대해 레이저 요격을 시도한 바도 있다. 일본은 북한의 탄도탄 공격징후를 감시한다는 명목으로 2009년 말 다섯 번째 정찰위성을 쏘아 올렸다. 또 독자적인 국지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험한 일인 듯했다. 한참을 헤매던 원주민은 수시로 차에서 내려 타이어 방향과 발
자국
방향을 확인했다.4~5시간을 헤매다 다시 마을로 돌아왔을 땐 감정이 북받쳐 올라 눈물까지 흘러 내렸다. 원주민이 친절하게 안내해준 숙소에 침낭을 덮고 누웠다. 며칠간 밖에서 지낸 탓일까. 집안이 낯설게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것이 홍어좆’이라는 말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홍어를 구입할 때 생식기를 떼낸
자국
이 있는지 잘 살펴보면 비싼 값을 치르고 맛이 떨어지는 홍어를 사는 일을 피할 수 있다.홍어는 큰 것 한 마리에 수십만 원을 호가할 정도로 값비싼 생선이다.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불법남획이 거듭되며 개체수가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수시로 우주를 드나드는 세계에 살고 있다. 이제는
자국
내에서 이동하는 수준이 아니라 전 세계를 하루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된 셈이다.우주 진입을 위한 기본 기술이 탑재물을 우주에 옮기는 발사체라면, 세계 일일생활권을 위한 필수 사항은 먼 거리를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