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동"(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STAGE 3 민주주의의 미래. AI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정보만 얻게 되는 현상을 ‘필터버블’이라고 불러요. 엄석진 서울대 교수는 “AI가 작동하는 원리인 알고리듬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한 채 AI가 내놓는 결과에만 기대는 건 위험하다”고 말했어요. 알고리듬이 올바른지 아닌지 알아야 그에 따른 분석 결과가 맞았는지 틀렸는지도 알 수 있어서예요. ... ...
- [기획] 백신을 맞으면 마스크를 안 써도 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조금씩 방역 단계를 완화해야 한다는 거지요.그럼에도 홍기종 편집위원장은 “백신이 잘 작동한다면 하반기에는 학교에 돌아가는 등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고 예측했어요. 어린이는 백신을 맞지 않지만, 주위 사람들이 면역을 형성하면 감염 위험이 줄어들기 때문이랍니다. 백신 개발은 ... ...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공압 부위·재료 강성 따라 움직이는 문어 다리뉴넷을 작동시킬 공압은 외부에서 펌프나 질소 탱크 등을 연결해 공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로봇 내부의 연료 탱크를 이용했습니다. 촉매로 널리 사용되는 백금에 반응하는 연료를 연료 탱크에 넣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 손 재난 현장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손가락이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어떤 원리로 움직이는 걸까요?스위치를 켜면, 모터가 작동하면서 드럼이 돌아가요. 이때 드럼에 꽂혀있던 고정핀도 함께 돌아가며 로봇 손가락의 뒤쪽 막대를 누르지요. 그러면 마치 시소처럼 뒤쪽 막대와 연결된 손가락 앞쪽이 위로 들리며 로봇 손이 움직이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항원, 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예측하기 위해 모아놓은 숫자 자료’라는 의미로 사용되다, 1946년 최초로 ‘컴퓨터 작동이 이뤄지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되고 저장될 수 있는 자료’라는 뜻으로 쓰인 기록이 있지요.현재 ‘데이터’의 의미는 더욱 확장되었어요. 어떤 속성을 숫자와 문자, 기호 등으로 표현한 것을 통틀어서 ... ...
- [긱블 X 과학동아] 오늘 테슬라 주식은 떡상? 떡락? 일론 머스크 돈 복사기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전자 파트 ‘노잼’이라고 휙휙 지나갔는데, 이번 작품에는 재밌는 것들이 꽤 있거든요. 작동 순서대로 한 번 살펴볼까요.일단 테슬라의 주식이 올랐는지, 떨어졌는지부터 기계가 알아내야 합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테슬라의 주식 정보는 쉽게 볼 수 있습니다만, 그런 것들을 흉상 안에 넣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의미가 있으며, 특히 SO(2,ℝ)이라는 특수직교군은 물리학, 특히 원자의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는 양자역학에서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원이 수학에서 특별한 존재인 만큼 원의 대칭으로 이뤄진 군 역시 수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쓰이는 것을 아시겠죠? 파이데이 행사에 참여해 본 독자들도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신경망 따라하기 딥러닝에 사용하는 인공신경망은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뉴런의 수상돌기가 화학 신호를 받으면 축삭돌기로 전기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것이 다시 화학 신호 형태로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달되면서 몸에 반응이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위에 슬라이스 치즈처럼 잘 녹는 납작하고 넓은 물체를 올려두세요. 전자레인지를 20초간 작동시킨 후 치즈를 꺼내면 치즈가 군데군데 녹아 패인 자국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들이 바로 전자레인지 속 전자기파의 마루, 혹은 골이 위치했던 흔적입니다. 패인 부분 사이의 길이를 재면 마루와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알파벳으로 바뀌어 나온다. 침몰한 독일 잠수함에서 암호책과 기계를 발견해 에니그마의 작동 원리는 알 수 있었지만, 암호체계가 매일 바뀌었기 때문에 24시간 안에 암호를 풀어야 했다. 나는 암호해독기 ‘봄브’를 개발해서 암호를 푸는 시간을 1시간, 나중엔 몇 분으로 줄였다. 암호를 해독하는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