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기"(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현재는 후속 로버 개발 계획이 없는 만큼 지금이라도 우주 탐사 로봇 개발 계획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고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3. 인간 돕는 웨어러블 로봇 ‘철컥, 척, 철컥, 척.’로봇이 움직이는 육중한 소리가 연구실 문밖까지 새어 나왔다. 2020년 5월 스위스에서 열리는 ‘제2회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실제로 추진체에는 추적 장치가 이중삼중 적용돼 있다. 러시아 연구팀은 1단의 상태를 장기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광섬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지상측정시스템(VOKSNI)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발사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신해 온도, 압력, 습도 등의 정보를 초당 500회 이상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활은 탄력이 매우 좋아. 덕분에 심장에서 나온 피를 한꺼번에 저장해 뒀다가 필요한 장기에 조금씩 보낼 수 있지. 그러면 심박수가 변해. 이를 통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야. 잠수할 때는 심박수를 1분에 2회까지 줄여 에너지를 최대한 적게 써. 크릴새우를 먹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전부 다 가지고 갈 수 없다”며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서 인간의 장기를 출력하면 응급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의견을 밝혔답니다.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말랑말랑, 맛있는 물방울 젤리가 완성! 한천은 이름이 조금 생소해도 젤리나 양갱 등을 만들 때 ... ...
- 우주의학 연구에 여성을 빼먹지 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담당하는 뇌세포 간 연결이 수컷에서만 끊어졌지요.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안전한 장기 우주 탐사를 위해 약을 개발할 수 있길 바라고 있답니다. _INTERVIEW김경재(NASA 존슨스페이스센터 인간 생리, 능력, 보호 및 활동 연구실 연구원) NASA 존슨스페이스센터에서 일하는 한국인 연구원이다.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생각한 거예요. 하지만 사실 뇌는 우리의 모든 생각과 행동, 감정을 처리하는 핵심 장기예요. 우리가 잠자는 동안에도 쉬지 않고 전기 신호를 주고받으며 활동하지요. 이때 일어나는 전류를 기록한 것을 ‘뇌파*’라고 해요. 뇌파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에 따라 패턴이 달라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자원의 확보가 정말 중요합니다. 하지만 뇌는 피부처럼 뜯어서 수시로 검사할 수 있는 장기가 아니기 때문에 거의 사후 기증을 통해서만 뇌 자원을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뇌 수집에 대해 아무래도 일반 대중들이 정서적으로 많은 부담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지요.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랍니다.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_INTERVIEW 황동연(차의과학대학교 교수) “인공 뇌는 뇌 연구의 희망이에요.” 다른 장기와 달리 뇌는 직접 뇌 조직을 떼는 데 어려움이 많아요. 그래서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지요. 저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뇌종양과 뇌 발달 장애 질환들의 발병 원인을 밝히고, ... ...
- 실종자 찾는 첨단 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이 중 10년 이상 찾지 못한 실종자는 509명이나 돼요. 성장하면서 얼굴이 달라지기 때문에 장기 실종아동은 당시 사진만으로 찾기 어려워요. 그래서 KIST 영상미디어연구단은 2014년 복합인지기술 중 하나인 ‘폴리스케치’를 개발했어요. 현재의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이지요. 연구단은 사람이 나이가 ... ...
- 33년 만에 사건해결! 과학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날 따라와 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33년 만에 사건해결! 과학수사Part1. 장기미제사건 푼 DNA 분석Part2. 실종자 찾는 첨단 기술Part3.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 도움김영삼(경기북부경찰청 검시조사관), 김익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영상미디어연구단 단장), 대검찰청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