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류"(으)로 총 1,2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름이 수십 nm(나노미터, 1m의 10억분의 1) 이하인 반도체 결정이에요. QLED는 이 양자점에 전류를 흘려 보내서 크기가 서로 다른 양자점에서 빛의 삼원색인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빛을 내도록 만든 거예요. 연구를 주도한 현 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디스플레이 필름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예컨대 아무리 붉은 빛을 강하게 쪼여도 흐르지 않던 전류가, 아주 약한 푸른 빛을 쏴 주자마자 흐르기 시작하는 현상은, 정말 신기했지만 누구도 설명하지 못했다.1905년 아인슈타인은 플랑크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에너지 양자 개념을 이용해 광전효과를 성공적으로 ...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즉, 영구자석이 설치된 자이로드롭 원반이 떨어질 때 중앙 타워 금속에 맴돌이전류가 생기는데, 이때 타워 금속의 자기장과 영구자석의 자기장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면서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거지요.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도파민을 분비해라!놀이공원에서 실컷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다른 하나는 공중에 떠다니는 전파 중에 필요한 신호를 잡는 기능이다. 사람들은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발명품이 탄생하자, 일종의 라디오 수신기 같은 전파 수신 장치를 꿈꾸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기능만으로는 라디오 수신기를 만들 수 없었다. 공중에서 흘러 들어온 전파를 사람의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혀냈다. 영국의 마이클 패러데이는 역으로 자석의 운동을 이용해 전류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전기와 자기와 빛을 모두 합해 멋진 전자기이론을 만들어냈다.뉴턴의 시간 및 공간 개념과 중력이론을 뒤집어엎는 데 성공한 아인슈타인이 중력이론과 ... ...
- [과학뉴스] “단위 정의, 절대상수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7가지 단위 중 4개 단위가 새롭게 정의될 예정입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질량(kg), 전류(A), 온도(K), 물질량(몰) 등 네 가지 단위가 대상입니다. 특히 kg 원기를 사용했던 질량의 정의를 빨리 개선해야 했죠. 네 개 단위는 앞으로 절대상수, 즉 각각 플랑크 상수, 기본 전하, 볼츠만 상수, 아보가드로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으뜸이다. 볼츠만 상수(k)가 온도의 파트너가 됐다. 마찬가지로 질량은 플랑크 상수(h), 전류는 전자 하나의 전하량, 몰은 아보가드로 상수가 새 파트너가 된다. 정교한 실험으로 상수를 정해버리면 그 다음부터는 단위의 기준이 바뀌지 않는다. 온도, 단위의 제국에 편입되다양 연구원은 “볼츠만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방식을 이용한다. 송신코일 속 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이 수신코일에 전류를 일으키는 원리다. 이 방식은 전력 손실이 적어 전송효율이 90%(이론적)에 이르는 반면, 전송거리가 1cm 내외로 매우 짧다는 단점이 있다.이 단점을 극복한 것이 자기공명방식이다. 자기공명방식은 2007년 미국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좋았겠다는 생각을 가끔 해본다.전류는 공간에 자기장을 만들어 내고, 자기장이 변하면 전류가 흐른다. 맥스웰 방정식(8월호 상수의 탄생 참조)에 따르면 전기와 자기를 하나의 틀로 이해할수 있기 때문에 현대 물리학에서는 전기력과 자기력을 합해 전자기력이라 부른다. 로렌츠의 힘(F=q(E+υ×B), υ는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겹치면, 두 금속에 모이는 전하 용량에 차이가 생기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지요. 이 전류를 이용해 LED에 불을 켜거나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답니다. 샤워기, 빗물, 개수구의 물 등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낙하하는 작은 물방울’이면 뭐든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에요.권순형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