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더 작고 더 정밀하게! 진짜 정확한 지도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실내 공간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밀한 지도는 도시 바람길을 모의하고, 실시간 기상정보와 결합해 미세먼지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등의 디지털 트윈*에도 활용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디지털 트윈 : 컴퓨터에 현실과 똑같은 환경을 만들고,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산업혁명을 맞았죠. 그리고 2016년 1월 20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 각국의 정치경제 지도자들이 모인 세계경제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가 처음 등장했습니다. 앞으로 인공지능과 같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가 이끄는 지능 정보화 시대가 시작된 거죠. 미국 구글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정도였어요.”“아버지 의식에선 산을 부르짖었지만, 무의식에선 바다가 더 좋았을지도 몰라요.”“그럼 이것은 아버지 무의식인가요? 아버진 지금 꿈을 꾸고 있나요?”“무의식은 또 다른 의식이죠. 뇌파로 봐서는, 아버지가 지금 꿈을 꾸는 게 아니라 과거를 기억하거나 상상하고 있는 것 같아요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안녕? 난 최고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도전하는 탐험가 문어야.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둥근 지구를 평평한 종이에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고민해 왔어. 종이가 나오 ...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Part3.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Part4. 더 작고 더 정밀하게 ! 진짜 정확한 지도에 도전하다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그동안 세계지도라고 하면 교실 뒤편에 붙어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지도만 떠올렸니? 그런데 세상에는 셀 수 없이 다양한 지도가 존재해. 주사위 모양부터 구불구 ... 1972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관측 위성 (Landsat)이 발사된 이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이 활발해졌다.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사이토신(C)이 만드는 패턴을 마치 바코드처럼 인식해 공간지도를 작성한다. 그리고 조직 샘플 내 발현되는 모든 유전자와 여기에서 전사된 mRNA를 증폭시켜 이미지로 만든다. 이를 분석하면 세포 내부의 유전자 정보뿐 아니라 발현된 유전자의 종류도 알 수 있다 ...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중인 연안 바다를 예로 들면, 4~5년 정도의 탐사 기간을 갖고,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도를 완성할 예정이지요. ● 가스하이드레이트 : 해저에서 저온, 높은 압력에 의해 만들어진 연료 자원.● 조간대 : 간조 때 드러나고, 만조 때 잠기는 연안 지역. 개펄이라 불린다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2010년에 비해 각각 1.7배, 2배 증가한 수치다. ● 기후변화 │ 극심한 봄 가뭄 찾아올지도 장기적인 기후변화의 결과는 한강 유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013년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기상학적 조건이 변했을 때 한강 지역이 어떻게 변화할지 알아봤다. 이 ...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앨범, 다음 앨범을 계속해서 발표해 나갔다. 낡은 승합차 한 대를 중고로 구매해 초대받지도 않은 지역 축제를 무작정 찾아다니며 거리공연을 이어 나갔다.과정을 간직하고 싶어 아는 형에게 영상을 부탁했다. 형은 며칠 따라다니더니 우리 모습을 다큐멘터리로 찍고 싶다고 했다. 완성된 다큐멘터리 ...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이처럼 AI가 데이터 사이에서 규칙을 찾아내고 의미를 추론하는 기계학습법을 ‘비지도형 기계학습’이라고 해요. 이것은 기존에 알지 못한 새로운 특징을 추출하거나 서로 관련이 높은 그룹끼리 분류하는 데 많이 쓰입니다. 기계학습이 받아들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행렬’과 ‘벡터’라는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