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측
어림
추리
예측
억측
어림짐작
대중
d라이브러리
"
짐작
"(으)로 총 1,048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충청도를 품을 만큼 크다. 호수의 끝은 보이지 않았다. 수면에 비친 구름으로 그 끝을
짐작
해야 했다. 해발 3812m의 티티카카 호수는 마치 하늘을 품고 있는 것 같다. 과연 ‘산 위의 바다’라 부를 만했다.이곳 주민들은 특이하게도 ‘물 위에서’ 산다. 기둥을 박아 지은 단순한 수중 가옥이 아니다.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즉 교통상황에서 수학의 역할을 상상하면수학이 네트워크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미뤄
짐작
할 수 있다.퇴근시간에 직장 M에서 H라는 주거지까지 10대의 차가 이동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갈수 있는길은 둘이다. 하나는 폭이 좁은 지름길 A인데, 1대만 지나가면 1분이 걸리지만 차가 많아지면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써야 하는 문제는 지금보다 더 복잡하거나 개념과 원리가 더 강조된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다. 권오남 교수는“전자계산기는 수학 탐구에 쓰는 도구”라며“계산이 아니라 개념을 익히고 탄탄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쓰면 안 되는 문제 vs 도움 되는 문제수학문제는 전자계산기를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말이다. 그러니 이미 오래 전에 과학자들이 이에 대해 연구를 해봤을 거라는 건 쉽게
짐작
할 수 있다.그러나 실제 연구는 현미경이 세상에 나온 다음부터였다. 맨눈으로는 파리를 관찰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때의 결과로 이 질문에 사람들은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파리 다리에 난 미세한 털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한판“이판사판이다. 우리 땅 전부를 걸 테니 너희도 다 걸어라!” 김유신의 이런 오기를
짐작
한 계백과 연개소문은 윷놀이 전에 서로 밀약을 맺었다. 백제나 고구려 둘 중 하나가 이기면 서로의 영토는 놔두고 이긴 나라가 신라의 땅을 갖기로. “그래 한 번 해보자. 대신 무르기 없기다.” 계백과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제는 어디에서 진짜 모노폴을 찾아야 할까. 물리학자들은 우주 어딘가에 있을지
짐작
도 하기 어려운 모노폴을 찾는 대신 이를 직접 만들어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바로 빅뱅을 재현해서 말이다.세계 최대 가속기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는 빅뱅을 재현하기 위해 탄생했다.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무려 1억 6500만 년 동안 지구의 주인이었지만 사람들은 우리가 남긴 뼈와 알, 발자국으로
짐작
만 할 뿐이니 말이야. 친구들은 우리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니? 우선 기본 상식부터 알아볼까? 공룡은 다른 동물과 어떻게 다를까?❶ 중생대에만 살았던 파충류이다. 피부가 비늘로 되어 있고알을 낳기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마 인류는 캐리비안 성운의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고 우주의 나이를
짐작
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다. 또 우주 팽창이론을 성립하지 못하고 암흑물질의 존재도 확인하지 못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허블망원경을 인류가 만든 가장 위대한 우주망원경으로 꼽는 것에 대해 나도 동감하고 있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들지 않았다.툭! 툭! 지오의 눈에서 뜨거운 눈물이 떨어지고 있었다. 지오의 마음을
짐작
한 듯, 황도사와 천복, 장도사도 지오를 더 채근하지 않았다. 그저 먹먹한 표정으로 하늘만 올려다볼 뿐. 하늘엔 무심한 구름만이 유유히 흘렀다. 구름 사이로 울음 섞인 지오의 목소리도 따라 흘렀다.“두고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봤던 것을 기억하면 망망대해에서 북두칠성이 어느 쪽에 있는지를 보고 지금 위치를
짐작
할 수 있다. 이때 정확한 위치를 알기 위해 삼각형을 그렸다. 그들은 왜 삼각형을 그렸을까? 여기에 위대한 발견이 숨어 있다.세 개의 변과 세 개의 각으로 이뤄진 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를 알면 정확한 모양의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