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분명했다. 한반도 정세를 파악해 미 해군정보국에 보고하기 위함이었다. 포크는 주관을
최대한
배제한 채 사실적인 정보를 꼼꼼히 기록했고, 사진으로도 남겼다. 현재 미국 밀워키 위스콘신대 도서관에 있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희귀본도 포크가 이때 수집한 것이다. 포크는 밥상 기록 하나에도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개발한 한국의 KIM은 이를 보완한 모형이야. 3차원 구를 감싸고 있는 2차원의 구면을
최대한
같은 간격의 격자로 나눌 수 없을까 생각하다가 나온 ‘육면체구’ 모양을 사용했지. 육면체구는 정육면체에 바람을 불어넣어 구 형태로 부풀린 도형이야. 이 구조는 실제로 미국의 기상 모형인 GFS(Global ... ...
수리류의 여정을 쫓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쉴 뿐 며칠씩 머물지 않았어요. 이한수 대표는 “북한과 몽골의 사막은 먹잇감이 부족해
최대한
빨리 지나가는 것 같다”며, “독수리의 자세한 이동 경로는 멸종위기종인 독수리를 체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어떤 지역과 협력해야 할지 알아보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PDF에서 ... ...
[통합과학교과서] 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어떻게 된 일이죠…? 큭큭큭큭!”“몰라! 흥부가 난방비를 내준다고 해서 보일러를
최대한
뜨겁게 틀고 잤을 뿐이야!” “욕심 부리다가 뜨거운 바닥에 머리가 타버렸군요. 큭큭큭….”놀부 부부는 부끄러움에 후다닥 꿀록 탐정 사무실에서 달아났어요. 동화마을 사람들은 이 부부를 ‘라면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고장보다는 전기적 고장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며 “로버에 들어가는 전자 부품의 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한 예로 일반적인 우주 탐사 로버는 바퀴마다 전후진운동을 담당하는 모터와 방향조종을 담당하는 모터가 각각 달려있다. 고장의 위험이 있는 모터 8개가 외부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회의가 시작된다. 대략 오후 4시부터는 팀원들이 퇴근하기 시작한다. 그러니 그 전에
최대한
많은 일을 하고 질문을 해야 한다. 업무가 끝나면 보통 회사 사람들과 함께 저녁을 먹거나 보드게임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요즘에는 코딩 연습으로 여가를 보내고 있다. 최근 새로운 기술과 프로그래밍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상대적으로 쉽지만, 대학 과정을 따라가기가 굉장히 힘들다. 특히 이공계 학과는 학생을
최대한
많이 입학시킨 뒤 학기가 끝날 때마다 우수수 낙제시킨다. 그래서 독일 대학은 학부 1~2학년 때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아비투어도 좋은 성적을 냈는데, 대학 수업 몇 번 빠져도 금방 따라잡겠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시점으로 보여 드리려고 합니다. 투머치토커(TMT)가 되지 않을까 걱정도 되지만 여러분께
최대한
생생하고 재밌는 수학자의 일상을 보여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수학자? 겁먹지 마세요! 혹시 ‘수학자’라는 직업이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시나요? “아직도 연구할 게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심박수가 분당 8회로 늘어났지. 바다 표면에 떠오를 때는 분당 37회까지로 심박수를
최대한
늘려 산소를 몸에 많이 저장한단다. 연구팀에게 할 말이 있다고?응. 연구팀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어. 그리고 우리 능력을 널리 알려줘서 고마워. 야생 대형 고래의 심장 박동을 측정한 건 이번 연구가 ... ...
전략적으로 땅 따먹는 퍼즐 게임, 블로커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친구 있나요? 4개의 사각형으로 이뤄진 도형이 무작위로 나타나면, 바닥부터 차곡차곡
최대한
빈틈없이 쌓아 가로줄을 채우고 블록 더미를 없애는 게임이에요. 1984년, 소련 과학아카데미의 프로그래머 알렉세이 파지노프가 만들었어요. 어느 날 수족관을 방문한 그는 물속에서 넙치가 춤추듯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