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0년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던 파킨슨병의 원인이 최근 뒤집혔다.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뇌에서 운동을 관장하는 부분(기저핵)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부족하면 운동신경이 억제돼 파킨슨병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 학설로는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성능이 처음 보고된 것보다 낮고, 범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아직까지
학계
에서 진정한 의미의 양자컴퓨터로 인정 받지 못하고 있다. 결국 그 해 5월 16일, 구글은 자사 블로그에서 “인공지능(AI) 연구를 위해 자체적으로 양자컴퓨터 하드웨어를 제작 하겠다”고 발표했다. 구글이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많이 된 논문을 선정하기 때문에 최근 급팽창한 분야만 보여준다는 한계가 있다. 지금
학계
에서 ‘핫’한 분야가 향후 노벨상을 받게 되리란 보장은 없다. 설사 이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오더라도 누가 선정될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다만 몇 가지 힌트는 얻을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국 과학자들은 김씨와 정 씨 부인이 어떤 병을 앓았는지 밝혀냈다. 그리고 지금껏
학계
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사실도 최초로 밝혔다. 김 씨와 정 씨 부인이 장기가 온전히 보존된 미라로 발견된 덕분이다. 기생충으로 질병 추적국내에서 미라를 연구하기 시작한 건 1960년대부터였다. 묘를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쉽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 당시에도
학계
에서는 “인간의 세포에서 처녀생식이 일어났다는 사실만 가지고 논문을 발표했어도 큰 주목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만큼 드문 현상이라는 의미다. 박 연구위원은 “유전자 교정을 한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만드는 변수 중 하나다. 이유2 : 각종 지진 규모 계산법 보정하는 보정값 문제
학계
에서는 지진파 전파에 따른 변수를 감안해 지진 규모를 최대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보정값을 쓰고 있다. 보정값을 포함한 지진 규모 계산법을 ‘규모식’이라고 부른다. 리히터는 지각에서 발생한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등과 결합한 뒤 DNA에 붙어서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RORα 수용체가 지방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연구팀은 RORα 수용체가 오히려 간의 지방 대사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로 비만 조절에 관여하는 대사 과정이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피부 수분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밝혀진 상태다. 현재
학계
에서는 피지 분비와 더불어 피부 표피 각질층에 있는 아미노산과 젖산 등의 천연보습인자(NMF), 지질층이 복합적으로 피부 수분 함량을 조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기능은 유전자에 따라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범위를 넓혔다. 화장품에 쓰이는 원료물질은 아직까지 종류가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학계
와 제약업계에서는 아예 새로운 물질을 찾아 화장품과 약품 개발을 동시에 시도하고 있다. ‘천연물 헌터’들의 활약이 중요해진 셈이다. 노주원 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새로운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짠맛, 감칠맛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doi:10.1016/j.foodchem.2013.03.070). 지금까지
학계
에서는 고기와 젖, 채소 등을 오랫동안 끓이거나 발효 시키면,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여러 가지 아미노산이 생겨나 풍미가 깊어진다고 설명해왔다. 그런데 연구팀은 펩티드 중에서도 글루타티온과 글루타밀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