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승
승전
전승
자손
후손
후예
d라이브러리
"
후속
"(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세상을 떠난후(겨우 36세에) 자신이 승인한 초판이 1656년에 다시 발간됐고 1662년엔 그
후속
물인 '해나라 여행'이 출간됐다.'달나라 여행'의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달나라에 도달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을 설명했던 점이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달나라로의 여행은 회오리바람이나 큰새가 끄는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암석속에 있는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분해돼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렇게 되면
후속
작업으로 원시적인 식물들을 이식할 수 있다. 비록 지구에 도달하는 양보다는 적지만 화성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을 만큼의 태양빛은 도달한다. 약10만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식물들의 광합성을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반사되어 다시 검출기로 검출된 신호는 신호를 처리하는
후속
의 전자회로들을 통과해서 CRT화면에 영상의 형태로 표시된다.초음파 촬영장치의 특징은 신체에 해를 주지 않고 내부의 형태를 영상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X선은 진단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축적되어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연구수준이 지난 십년간 꾸준히 높아졌다는 낙관적인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후속
으로 나온 질적 분석결과에 의해 이 낙관론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연구상의 진보는 기술 개발과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지구과학이나 환경분야에서 이뤄진 것이고 기술개발의 핵심분야인 컴퓨터과학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서로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현재로 돌아오는 이야기가 그려져 있었다. 이 영화의
후속
편에서는 이 소년이 미래로 날아가서 그의 자녀들이 겪을 위험을 미리 방지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비단 이 영화뿐 아니라 수많은 공상과학 영화와 만화영화에서 타임머신은 가장 흥미있고 기발한 각종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물고기도 그 한 예다. 그렇다면 산성비에 의한 호수나 강물의 산성화가 왜 물고기에 그런
후속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① 물고기의 체질이 산성화되기 시작하면 노화가 촉진되기 때문이다.② 물고기의 피부를 덮고 있는 비늘이 녹기 때문이다.③ 플랑크톤의 산성화를 견디지 못해 죽어버리기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직접 현지를 방문해 진행하며, 방학에는 학생들을 다시 서울로 초청해 과학관 방문 등
후속
행사를 갖기도 한다.총 4부로 꾸며진 20일의 행사중 1부 현대과학과의 만남에서는 모형로켓을 발사하고 로봇쇼를 선보였다. 행사에 등장한 로봇은 과학기술진흥재단에서 '과학잔치'를 후원하기 위해 빌려준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6개의 플리트 샛콤(Fleet Sat Com)위성을 궤도상에 배치사용하고 있으며 1992년부터는 10개의
후속
UHF위성을 추가할 계획이다.정확한 기상예보는 전쟁에서 극히 중요한 정보다. 페르시아만 상공을 지나가는 3개의 방위기상위성은 군사작전에 영향이 있는 사막의 모래바람과 기타 기상상태를 알려줄 뿐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따라서 많은 연구소들이 이런 점을 보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 발전시켰고 그 결과
후속
프로그램인 뮤직 360, 뮤직 11은 각종 필터 기능을 제공했다. 절충방식을 거쳐이 시기 프로그램들이 아무리 우수했다하더라도 당시 관점으로 그 발생음은 기초적이며 유치했다. 소프트웨어적 방법으로 음을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고, 설사 스텔링이 핵심적인 연구를 했다고 해도 연구의 지속성문제를 놓고 볼 때
후속
작업은 비숍과 바머스연구실에서 수행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그래서 노벨상위원회는 50인 선정위원회의 결정을 지지하기로 했다. 아무튼 이들의 발표이래 연구자들은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40종이상의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