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광
관람
유람
참관
시찰
순람
방문
뉴스
"
구경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 하겠다는 고교생이 물리를 안배운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2
대학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나서야 함에도 불구하고 '강건너 불
구경
'하는 식으로 뒷짐만 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단기간에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을 개선하기 어렵다면 어떤 대학의 무슨 과는 특정 과학 과목을 지정해서 응시토록 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대안이 될 ... ...
우리 아이에게 우주의 신비를 가르쳐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지난해 11월에 과학동아 천문대를 개관, 대기 오염물질과 인공 불빛 때문에 별
구경
이 어려운 도시인들에게 다양한 천문현상 관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과학동아 천문대에는 8인치(200mm) 굴절 망원경이 설치된 천체관측관을 비롯해 날씨와 무관하게 가상의 밤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천체투영관, 10여 ... ...
창조경제 박람회 '속 빈 강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별반 다를 것이 없고, 창업희망자를 위한 전문가 컨설팅 코너도 적어 마치 정부가 그냥
구경
이나 하고 가라는 것 같았다”고 꼬집었다. 그렇지만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관객을 사로잡은 기술들도 간혹 보였다.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배현민 교수 연구실에 있는 대학원생 4명이 주도해 개발한 ... ...
혜성, 불행과 변화의 상징?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앞으로 스테레오(STEREO) 천문관측 위성과 하와이 마우나키아 산 꼭대기에 있는 3미터
구경
의 적외선 망원경(IRTF)을 사용하고, 또한 12월 중순과 12월 말에 허블(Hubble)우주망원경과 찬드라(Chandra)우주망원경을, 2014년 초에는 적외선 우주망원경인 스피처(Spitzer)를 동원하여 아이손 혜성의 잔해를 관측할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정도 규모의 소행성 충돌을 예측할 수 없는 건 단순히
구경
거리를 놓친다는 차원이 아니다. 그럼에도 지금으로서는 수십 미터 크기의 천체가 지구와 충돌하기 전 그 존재를 알아차릴 확률은 희박하다고 한다. ●미니 소행성의 최후 기록 미니 소행성 2008TC3의 마지막 ... ...
도시 한복판에서 별
구경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과학동아 천문대는 대기 중 오염물질과 인공 불빛이 많은 ‘빛 공해 현상’ 때문에 별
구경
이 어려운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천문 현상 관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세워진 도심 천문대다. 김영진 천문대장은 “그동안은 별을 관측하려면 산 중턱에 위치한 천문대를 찾아가야만 해 불편함이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아이손 혜성' 도심에서 직접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15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있다. 토요관측회 행사는 재미있는 별자리 이야기와 함께
구경
1m의 망원경으로 별과 우주를 관측하는 행사로, 날씨가 흐려 별을 볼 수 없을 경우 천체투영관에서 별과 별자리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서울 한복판에서도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다. 서울 ... ...
충돌 직전 쌍둥이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블랙홀 사이의 거리는 2600광년으로 분석됐다. 관측에 이용된 유럽남천문대 소재
구경
8.4미터의 거대망원경 -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제공 점점 가까워지고 있는 이 2개의 블랙홀은 각각 은하의 핵에 위치해 있다. 은하 핵에 존재하는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100만~100억 배에 이르는 것으로 ... ...
느닷없이 떨어지는 우주물체? 이제 걱정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곳을 선정해 2016년까지 한반도 주변을 둘러 싼 감시망을 만들 계획이다. 이 시스템은
구경
50cm인 광시야망원경을 이용해 우주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나 우주쓰레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천문연은 이 시스템을 이용해 2008년 수명을 다한 아리랑 1호’ 위성과 2009년 운용이 끝난 ... ...
[채널A] 우주 쓰레기 24시간 감시한다…추적 시스템 개발
채널A
l
2013.10.07
위해선 위성과 우주 쓰레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해야 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구경
50cm인 광시야망원경을 이용해 이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추적 시스템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습니다. 2008년 수명을 다한 아리랑 1호’ 위성과 2009년 운용이 끝난 ‘과학기술위성 1호’를 정확히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