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성
내관
자기성찰
반성
자기반성
자기관찰
성찰
뉴스
"
내성
"(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상가모 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12월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제7회 치료 중 HIV의
내성
에 관한 국제워크숍’에서 에이즈 환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교정치료의 2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즈는 면역세포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발병하는데, 선천적으로 ‘CCR ...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열대성 소외질병 치료제 개발한다
연합뉴스
l
2020.09.29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치료제의 약물
내성
이 늘고 부작용이 발생해 새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파스퇴르연구소는 이미지 기반 세포 스크리닝 기술을 사용해 메디나가 보유한 많은 양의 미생물 천연물 라이브러리의 효능을 분석한다. 이후 ... ...
코로나19 백신 콜드체인을 확보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소아마비 백신은 온도 변화에 가장 약한 A 그룹에 속하고 인플루엔자도 비교적 온도
내성
이 약한 B 그룹에 속한다. 반면 B형 간염이나 폐렴구균 백신은 온도에 매우 강한 F 그룹에, 일본뇌염 역시 상당히 강한 E 그룹에 속한다. 그 외에 빛에 민감한 홍역이나 BCG 등 일부 백신의 경우는 빛이 통과하지 ... ...
감염성 병원균 눈으로 보고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상호 응축을 유도해 링 패턴 생성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육안으로 이를 관찰해 병원균의
내성
종류를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스마트폰 등 모바일 진단이 가능한 기술이다. 연구팀은 또 커피링 현상에 ‘회전 환 증폭’ 기반의 등온 증폭기술을 융합했다. 긴 단일 가닥의 표적 DNA 물질이 직경 0.1~1 ... ...
[백신 업데이트]화이자 백신 '중간 또는 경미' 부작용…"우려할 수준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이날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컨퍼런스콜에서 임상시험을 통해 백신의 안전성과
내성
을 계속해서 정밀 검토 중”이라며 “보고된 부작용은 화이자 백신의 안전성에 우려를 제기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화이자 데이터점검위원회는 백신 연구 중단을 권고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 ...
생명硏, ‘타미플루’ 안통하는 인플루엔자 진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감염 여부를 신속하게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개발된 항체는 다제
내성
바이러스 감염 치료를 위한 적절한 약물 선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정은경 신임 질병청장 "첫 임무는 코로나19 극복에 전력을 다하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12
업무들일 것”이라며 “또 여전히 한국서 질병 부담이 되는 결핵이나 의료감염, 항생제
내성
등 고전적 감염병 이슈에 대해서도 더 전문적인 대응을 하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감염병뿐 아니라 건강에 굉장히 위협을 주는 미세먼지, 기후변화, 그리고 질병 이외에 ... ...
질본, 오늘부터 질병관리청…이모저모
동아사이언스
l
2020.09.12
조사대응역량을 미리 준비하는 업무를 하겠다”며 “결핵이나 의료감염 또는 항생제
내성
과 같은 그런 고전적인 감염병 이슈에 대해서도 좀 더 적극적인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인사] 질병관리청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류정상 △만성바이러스연구과장 최병선 △세균질환연구과장 김성한 △약제
내성
연구과장 유정식 △백신연구개발총괄과장 정경태 △병원체자원관리과장 최영실 [수도권 질병대응센터] △운영지원과장 서명용 △감염병대응과장 김미영 △진단분석과장 남정구 [경남권 질병대응센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딸려왔다. 자연생태계에서 오랜 진화로 콩코드포도는 포도뿌리혹벌레에
내성
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을 처음 만난 유럽포도는 속수무책으로 당했다(혹멧돼지에게는 별 게 아닌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에 돼지들이 당한 것처럼). 몸길이 1밀리미터인 노란색 진딧물인 포도뿌리혹벌레는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