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뉴스
"
성공]
"(으)로 총 10,251건 검색되었습니다.
분당차여성병원, 시험관 시술·양수과소증 임신부 쌍둥이 출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분당차여성병원에서 시험관 시술을 통해 임신하고 조기양막파열로 양수과소증이 지속된 임신부가 무사히 쌍둥이 출산에 성공했다. 쌍둥이를 표현한 일러스트.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분당차여성병원은 시험관 시술을 통해 임신하고 조기양막파열로 양수과소증이 지속된 임신부가 무사히 쌍둥이 ... ...
이광형 KAIST 총장·최태원 회장, AI 기업가들과 대담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AI 미래세대와의 토크콘서트'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KAIST 제공 KAIST는 대전 본원에서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AI 미래세대와의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행사에는 재계‧학계 리더와 KAIST 출신의 AI 분야 창업자 및 청년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이광형 KAIST 총장 ... ...
가볍고 잘 휘어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연구진 단체사진. 왼쪽부터 김해진 연세대 교수, 정인영 한국에너지연구원 선임연구원, 김기환 한국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이태경 경상대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은 초경량 유연 페로브스카이트/CIGS(구리-인듐-칼륨-셀레늄) 탠덤 태양전지를 새로운 공 ... ...
힉스 발견 과학실험장치 LHC 3배 크기 FCC 구축 세부계획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차세대 입자가속기인 미래 원형 충돌기(FCC)에서 양성자끼리 충돌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 Polar Media/CERN 제공 인류의 가장 거대한 과학 실험 장치로 설계된 차세대 입자가속기 '미래 원형 충돌기(Future Circular Collider, FCC)'의 세부계획이 발표됐다. 약 50년 뒤인 2072년까지 최소 300억달러(약 44조원)가 투 ... ...
딸기 보관 기간 두 배로 늘리는 ‘석류 껍질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저장성이 낮은 대표적인 과일인 딸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딸기처럼 쉽게 상하는 과일의 저장 기간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스태니슬라우 보구쉬 브라질 상파울루대 상카를로스 화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석류 껍질과 오징어 뼈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으로 만든 생분해성 식 ... ...
[과기원NOW] DGIST, 글로벌첨단전략산업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캠퍼스 전경.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 ‘글로벌첨단전략산업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첨단전략산업 분야에서 기술경영 석·박사 인력을 양성해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영 역량을 ... ...
한미 공동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첫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스피어엑스가 공개한 첫 이미지. NASA/JPL-Caltech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촬영한 첫 이미지가 공개됐다. 우주항공청(우주청)은 스피어엑스가 성공적으로 시험 운영 중이며 2일 첫 이미지를 공개했다고 이날 밝혔다. 스피어엑 ... ...
“핵융합 조기 상용화하는 데 KSTAR 성능 한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1일 대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서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 핵융합에너지 연구시설인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성능에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며 차세대 에너지원인 핵융합에너지 조기 상용화를 위해 새로운 핵융합 ... ...
온도에 따른 신경활동 변화 본다…"신경질환 치료 연구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유전자 변형 없이 빛을 이용해 뇌 신경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광열 신경 조절 과정에서 세포 표면의 온도 변화를 알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뇌의 온도를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 제공 유전자 변형 없이 빛을 이용해 뇌 신경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광열 신경 조절 과정에서 세포 표면의 온도 ... ...
3년반 보조장치 착용 후 심장 이식…20년만에 되찾은 건강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의료진들이 좌심실보조장치(LVAD)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제공. 1296일간 좌심실보조장치(LVAD)를 착용했던 45세 여성 환자 A씨가 심장이식 시술을 받고 건강을 되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은 2018년 경기도 최초로 LVAD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