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인간 '뇌 지도' 만드는 프로젝트에 5억 달러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등을 연구한다.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의 이름은 ‘브레인 이니셔티브
셀
아틀라스 네트워크(BICAN)’라고 명명됐다. 존 응가이 브레인 이니셔티브 이사는 “이번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를 위해 신경과학 연구의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BICAN 프로젝트에선 실험용 쥐보다 100 ... ...
"조기진단·치료로 자폐증상 평생 완화 가능해"…쥐 실험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9.21
유년기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해당 연구 결과는 21일 국제학술지 ‘
셀
리포츠’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자폐 생쥐의 유년기 약물 치료 효과. IBS 제공 연구팀은 이어 조기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자폐 유발 유전자 중 하나인 ‘ARID1B 단백질’이 결여된 쥐는 ... ...
고용량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추우면 잘 깨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E-beam)으로 다양한 지름의 실리콘 나노 기둥을 제작했다. 나노 기둥을 중심으로 배터리
셀
을 조립했고, 여기에 전기를 충‧방전하며 리튬과 실리콘 웨이퍼의 전기화학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실리콘 웨이퍼의 결정면 방향에 따라 각 나노 기둥은 리튬 충전 후 서로 다른 부피 팽창 양상을 보였다. ... ...
식물분류학자가 팽나무에 보낸 연애편지
과학동아
l
2022.09.11
사람이 관계 맺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다. 팽나무는
셀
티스 시넨시스(Celtis sinensis)다. 그는 “종 대 종으로 보면 식물은 인간보다 오랜 시간 지구에서 사는 방법을 배워온 대선배”라고 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는 지구의 46억 년 역사를 시계처럼 두고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에티오피아 대학과 원자력공학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31
반도체의 치명적 한계점인 '낮은 점멸비'를 모두 극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
셀
'의 자매지인 '켐‘ 30일자에 게재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뉴바이올리지학과 김민석 교수 연구팀이 약물이 전무한 유전성 난치 말초신경병증인 샤르코마리투스(CMT)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전자약 ... ...
모더나·화이자 코로나 mRNA 백신 기술 특허 다툼
동아사이언스
l
2022.08.28
화이자는 모더나의 소장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라며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스테판 반
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10년 전부터 수조 원을 투자해 개발한 혁신적인 mRNA 백신 특허를 보호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 ...
쥐 줄기세포로 뇌 발달하고 심장 뛰는 배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6
이용해 초기 뇌와 심장을 갖춘 합성 배아를 약 8.5일간 배양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
셀
'에 발표한 바 있다.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의 결과는 이를 넘어 배아와 동등한 수준의 신경계를 갖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배아에서 뇌, 그중에서도 전두엽이 발달하도록 성공한 ... ...
얼굴만 봐도 당신의 유전자가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
셀
리포트'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프랑수아 브루넬/
셀
리포트 제공 얼굴만 봐도 몸속의 유전적 변이와 희귀 유전질환 여부를 단번에 알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전자 정보를 이용해 범죄자 얼굴 몽타주를 만들거나 유사한 얼굴 패턴을 보이는 사람의 유전질환을 ... ...
"불주사로 불리는 결핵백신, 코로나19 예방효과 있다”...의학계에선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2.08.18
하버드대 부속 메사추세츠병원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 내용이 담긴 논문을 국제학술지 ‘
셀
리포트 메디신’에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일명 ‘불주사’로 알려진 BCG 백신은 1906년 프랑스의 세균학자 알베르 칼메트와 그의 동료인 수의사 카미유 게랭이 개발했다. 이 백신은 소에게서 결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재조명받는 후각 연구
2022.08.09
냄새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회로가 그렇게 만들어진 것일까. 지난해 12월 학술지 ‘
셀
’에는 이 질문에 답하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보 처리의 첫 단계인 후각 뉴런에서 피로 현상이 일어난다. 포유류는 보통 1000여 가지, 사람은 400여 가지 냄새 수용체 유전자가 있고 각 뉴런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