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10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정지 때마다 보고 안해도 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설치된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원자력연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운영하는 국내 유일 연구용원자로(연구로) '하나로'는 그동안 고장, 인적실수 ... '원자력 이용시설 건설 변경허가(안)'이 의결됐다. 제196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7일
열
렸다. 원안위 ... ...
UNIST, 나노 단위 제어 가능한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UNIST 연구팀이 개발한 금속-유기 골격체 개념도.UNIST 제공 나노 단위로 제어가 가능한 새로운 고체물질이 개발됐다. 정밀한 부품을 기계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디지털 ... 원리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와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 새로운 길을
열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작은 간 이식해 몸속에서 키웠다…간 이식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있었고, 우엽에는 간세포암이 있는 환자를 만났다. 환자는 간세포암을 대상으로 고주파
열
치료를 받았지만 재발이 우려되어 이식이 절실했다. 다행히 적합한 생체 기증자가 있어 기증자의 간 좌엽을 이식하기로 했다. 기증자 간 좌엽을 복강경으로 떼어 확인한 결과 절제한 좌엽 용량은 320g으로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개방형 양자팹, 서울양자융합R&D지원센터(양자패키징센터) 등을 순서대로
열
예정이다.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아마존 브라켓'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클라우드 형태로 양자컴퓨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양자컴퓨팅 기술이 필요하면 이를 실제 ... ...
스티커 떼어내듯…전자 소자, 기판에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구부려 '변형 에너지 방출률'을 최대화했다. 변형 에너지 방출률은 박리 과정에서 균
열
이 커지는 동안 단위 면적당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이다. 변형 에너지 방출률이 소자와 기판 사에 있는 경계면의 강도를 초과하면 박리가 쉽게 일어난다. 이렇게 제작한 기판 위에 소자를 제작한 뒤 도장을 ... ...
화성 공장 화재 참사…배터리가 불러온 '화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아니라 일차전지도 리튬이 포함돼 연쇄적으로 폭발하며 불이 옮겨붙기 때문에 발
열
량이 순식간에 커져 화재 진압에 쓰이는 소화수도 다른 화재보다 훨씬 많이 투입되어야 한다. 또 독성 가스인 불산 가스도 발생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 진입도 어려워진다. 이날 화재는 배터리 1개에 불이 붙으면서 ... ...
한국 '인공태양' 초전도자석, 16년 장기 운전에도 최대 성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6.24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모두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교류 손실로 인한 총 발생
열
량은 과거보다 더욱 줄어들어 자석이 더욱 안정됐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이번 검증 실험을 담당한 이현정 핵융합연 초전도시스템연구그룹 그룹장은 “KSTAR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 ...
녹슨 철로 그린수소 만든다…"태양광 수소전환 효율 3배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게르마늄(Ge), 티타늄(Ti), 주석(Sn)을 함께 섞어 산화철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고
열
을 이용해 다공성 구조를 만들어 반응 면적을 넓혔다. 전자 이동 거리도 줄였다. 이를 통해 산화철의 단점을 극복하고 물 분해 효율을 높였다. 연구팀이 만든 산화철 전극은 태양광을 이용한 수소 전환 효율을 3.2배 ... ...
단단하면서도 길이 5배까지 늘어나는 '유리성 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있는 재료를 만든 것이다. 유리성 젤은 원래 길이의 최대 5배까지 늘어났고
열
을 가하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왔다. 유리성 젤은 50~60%가 액체기 때문에 비슷한 물리적 특성을 가진 일반 플라스틱보다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다. 또 단단한 소재에서는 보기 드문 특성인 점착성이 있었지만 점착성이 ... ...
세포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발
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보여주는 최초의 연구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생성된
열
이 세포 내에 미치는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