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뉴스
"
외계
"(으)로 총 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비합리적인 생각에도 합리적인 이유 있다
2019.03.31
샌드위치처럼 앞뒤로 패널을 붙인 남자가 목청 높여 외칩니다. 종말이 가까웠다는군요.
외계
인이 자신을 납치했다든가 비밀 정부가 자신을 감시한다는 이야기를 떠드는 뭔가 이상한 사람들입니다. 정말 정부에서는 저런 사람은 어떻게 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세상 모든 일을 다 의심하는 사람을 ... ...
인류가 확인한
외계
행성 4000개 돌파…후보 2866개도 등재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테스우주망원경이 찾은
외계
행성을 그린 모식도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1995년 태양계 밖에 있는 별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페가수스자리 51 b'가 최초로 발견 ...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며 “혼자 떠돌아다니는
외계
행성부터 하나 혹은 두 개의 항성을 도는
외계
행성도 있다”고 말했다 ... ...
우리은하 중심에서 뿜어져 나오는 'X선 굴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이 발견됐다. 정체는 고에너지 X선을 뿜어내는 플라스마 기둥이다.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
행성물리학연구소와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천체물리학과 공동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XMN-뉴턴 망원경과 찬드라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은하 중심부를 750시간 관찰한 결과, 은하 중심부에 있는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03.10
기지를 세우고, 50년 안에 화성에 도착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200년 안에 태양계가 아닌
외계
행성의 위성들을 탐사할 수 있을 겁니다. 그 위성에 도착하는 것은 사람이 탑승한 우주선이어야 합니다. 인류의 미래를 고려한다면 우리가 직접 그곳으로 가야하죠. 인류가 이주할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 ...
150년 맞은 주기율표, 한국 이름 딴 원소 탄생은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있는 형제 원소들이 공통으로 갖고 있다. 규소, 게르마늄 등이다. 일부 우주생물학자는
외계
생명체 가운데 탄소 대신 규소로 된 존재가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발견된 적은 없다. 빛의 속도로 270만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 성운 NGC604.밝은 부분이 이온화된 수소가 있는 부분이다. ... ...
유전 정보 저장 능력 커진 ‘인공 DNA’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지구 밖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찾기 위해서다. 지구 생명은 4개 DNA를 쓰지만 지구 밖
외계
생명체까지 4개의 DNA를 이용하라는 법은 없기 때문이다. 또 DNA가 나타내는 정보의 폭을 확장할 수 있다. 현재 지구의 DNA는 A, T, G, C 네 개의 알파벳으로 된 문자를 이용한 언어다. 24개 문자로 된 영어 ... ...
거실에서 촬영된 괴물?
팝뉴스
l
2019.02.22
촬영했다고 하는데 사진 속 ‘존재’는 괴물이라고 불러도 괜찮을 이상한 모습이다.
외계
인이나 유령 같다고 말하는 댓글도 많다. 사진 설명을 보면 ‘아빠가 새벽 3시에 냉장고 있는 음식을 먹으러 나왔으며 촬영자는 그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라고 되어 있다. 그런데 사진은 사람 사진으로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우주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다. 지구에서 센타우르스자리 방향으로 434광년 떨어져 있는
외계
행성 ‘J1407b’는 반지름이 약 9000만km에 이르는 거대한 고리를 갖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은 J1407b 상상도다. Ron Miller 2013년 관측 결과는 2011년보다 H3+방출선의 명암 대비가 더 컸다. 계절이 바뀌고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천체끼리 또는 성운끼리 충돌할 때 FRB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외계
생명체가 보내는 메시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FRB는 지금까지 수십 차례 관측됐다. 그중 2012년 11월에는 같은 곳에서 여러 개가 반복적으로 관측되기도 했다(FRB 121102). 연구팀은 400~800MHz(메가헤르츠) ... ...
GPS 없이도 혼자 돌아다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된다. 특히 로봇은 갑작스레 지형이 바뀌는 재난 현장 혹은 사전정보를 알 수 없는
외계
행성 같은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게 될 확률이 높다. GPS에 의존해서 로봇이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려는 기술이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이기도 한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 작성(SLAM)’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