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49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생성형AI로 만든 '자연계 없는 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실렸다. 형광 단백질은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받으면 형광을 방출하는 단백질이다.
유전
자 발현을 추적하거나 단백질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데 활용된다. 암세포나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을 형광 단백질과 결합하면 질병의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뇌신경망 연구에서도 형광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대 최대 규모 아프리카인 장내미생물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2
감염 연관성이 새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는 아프리카 인구의 장내미생물
유전
체에 대한 역대 조사 중 가장 큰 규모"라며 "장내미생물과 관련된 과학적 발견 기회를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4-08485- ... ...
당뇨·코로나19·에이즈 한번에 진단하는 AI 도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연구팀은 B세포와 T세포 수용체의 주요 영역을 암호화하는
유전
자 서열을 분석하고 특정 질병과 관련이 있는 패턴을 찾아낼 수 있는 머신러닝 모델 6가지를 결합해 AI 도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연구참여자 593명을 대상으로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B세포 1620만 개와 ... ...
엄마 뱃속서 치료…'근육 위축' 태아 첫 치료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출생 후 치료만으론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다른
유전
질환에서도 태아일 때의 치료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doi.org/10.1056/NEJMc230080 ... ...
미국서 바이러스 정복 프로젝트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오늘날의 기술로 볼 수 없을 만큼 작아서 세포에 숨어 있는 바이러스, 숙주 세포의 DNA에
유전
자를 몰래 넣어 수년간 드러나지 않는 바이러스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바이러스가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바이러스를 특정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AI를 선택했다. 연구자들은 AI를 이용해서 ... ...
"아직 때가 안됐는데 사망하는 이유,
유전
자보단 '환경'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이번 연구는 환경 요인이 노화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며 "
유전
자가 곧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고 오해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doi.org/10.1038/s41591-024-03483- ... ...
뇌에서 합성되는 여성 호르몬, 식욕 억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것이다. 그 결과 난소 제거 쥐의 뇌 시상하부 영역에서는 아로마타제를 코딩하는
유전
자가 여전히 활발하게 발현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시상하부는 에스트로겐 합성이 특히 활발하게 일어나는 뇌 영역이다. 또 난소 제거 쥐는 뇌에서의 에스트로겐 합성을 막지 않는 한 식탐을 내지 않는 특징을 ... ...
"딸기 몇알 드셨나요?" 설문 불필요…대변 DNA로 식단 파악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모두 존재한다. 연구팀은 400개 이상의 식품과 3000억개 이상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유전
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식품 유래 DNA를 분석하는 방법인 '메디(MEDI, 영양 섭취량 메타게놈 추정)'를 개발했다. 대변 메타게놈에서 식품 유래 DNA를 분석하고 역으로 식단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MEDI는 대변 DNA ... ...
'기적의 항암제' CAR-T 치료제, 암환자 18년 생존 기록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특정 사람에게 효과적인 이유는 불분명하다"면서도 "개인이 갖고 있는 T세포가 식단,
유전
적 요인, 과거 벙력 등에 따라 다르게 행동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doi.org/10.1038/s41591-025-03513- ... ...
체지방 감소 이어 '근육량 증가' 신약 등장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발현을 차단하면 근육 성장이 촉진된다. 미오스타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
자는 약 30년 전에 발견됐지만 아직까지 이를 활용한 치료제가 상용화되진 않았다. 아피테그로맙은 미오스타틴 차단제 약물 중 처음으로 FDA 승인에 도전한다. 아피테그로맙은 척수성 근위축중(SMA) 환자의 운동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