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생
부활
갱생
부흥
신생
재건
회복
뉴스
"
재생
"(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에 무해한 인공장기 인쇄 ‘3D 바이오 잉크’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2
이번에 개발된 바이오 잉크는 그 자체의 물리적 특성을 달리해 뼈 조직 외에 다른 조직의
재생
에도 적용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최종적으로는 부위별 조직 및 장기 맞춤형 바이오 잉크를 제품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3월호 ... ...
소뇌에서 공포기억을 조절하는 신경회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결과 소뇌에서 뇌간의 '외측 팔곁핵'이란 부위로 연결된 신경회로의 활성이 공포 기억
재생
에 필수적이란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일명 '소뇌 핵-외측 팔곁핵 신경회로'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전달을 매개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또 공포 조건화 학습에 의해 강화된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환경에 노출된다면 다시 공포가 복구(recovery)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공포 기억의
재생
성(renewal)이라 부르며,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는 이유도 역시 기존의 공포기억 정보와 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억제 기억 정보가 경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쥐의 공포 억제성 기억은 기존과 전혀 다른 ... ...
리튬이온전지 대체, 폭발 위험 없는 레독스 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수 있는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는 원가·발화위험이 낮고 수명이 20년 이상으로 길어 신
재생
에너지와 연계한 에너지 저장장치로 활용된다. 레독스 흐름전지 활성물질로 바나듐 원소가 가장 널리 사용되지만 최근 바나듐 원가 상승으로 대체 물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대체 ... ...
정부, 산업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文 정부보다 축소...원전 비중은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원전 발전 비중을 2021년 계획에서 설정한 목표치인 27.4%에서 32.4%로 5%p 확대했다. 신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도 2021년 계획 7.5% 대비 14.1%p 증가한 21.6%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 정부는 이같은 기본계획안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과제에 향후 5년간 89.9 조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 ...
항암제 안 듣는 암 치료 신약 후보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자기
재생
능력이 있는 ‘암 줄기세포’를 가지고 있다. 항암제의 공격에도 스스로
재생
하고 다른 세포로 분화하면서 암 재발과 전이의 원인이 된다. 일반 암세포의 경우 항암제를 투여하면 종양 미세환경이 나빠져 사멸한다. 항암제로 인해 암세포가 받는 소포체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단백질 IP ... ...
반창고 대신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개발한 세포 스티커를 동물 모델에 적용해 다양한 형태의 상처에 붙이고 상처가 빠르게
재생
되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배양된 세포 스티커를 원하는 모양으로 잘라내 복잡한 환부에 적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세포 메디폼'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이번에 개발된 세포 스티커 기술을 ... ...
기적의 항암제 ‘킴리아’ 빅5 이어 고대안암병원 도입…국내 6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8
추출해 보관 및 처리할 수 있는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GMP) 시설을 갖춰야 한다. 또 첨단
재생
바이오의약법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인체세포 관리업 허가를 받아야 한다. 고대안암병원은 허가를 위해 필요한 조건을 모두 채우고 최근 식약처에 승인을 요청했다. 박용 고대안암병원 ... ...
태양광·물 있으면 청정에너지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3.03.07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그린 수소는 신
재생
에너지 등을 이용해 탄소 배출 없이 생산한 수소다.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는 전극을 물에 담근 후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어내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 방식은 태양광과 물에 의해 전극이 쉽게 ... ...
'세포 역노화·AI 인공단백질 설계' 미래 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갖춘 인공 단백질을 설계하는 기술과 세포 리프로그래밍으로 세포 건강을 유지하고 세포
재생
능력을 복원하는 ‘세포 역노화’ 기술 등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꼽은 올해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로 꼽혔다. 생명연은 6일 ‘2023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발표했다. 생명연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