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당함"(으)로 총 43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주먹도끼의 반격...인간은 힘 합쳐 자연과 싸우며 진화했다2018.06.10
- 진화인류학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아마 ‘던바의 숫자’에 대해서는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인간이 안정적으로 만날 수 있는 사람의 숫자가 100명에서 231명 사이, 평균 148명이라는 주장입니다. 로빈 던바는 털고르기와 언어, 집단의 크기, 뇌의 크기 간의 관계를 회귀식으로 정리하는 기발한 착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게으른 천재라는 착각2018.05.27
- 두 가지 종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항상 부지런하지만 결과가 신통치 않은 사람과, 항상 게으르지만 결과는 훌륭한 사람입니다. 둘 중에 하나를 고르라면, 여러분은 어떤 쪽을 선택하고 싶은가요? 물론 두번째 부류일 것입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결과가 신통치 않은 쪽이라면, 정말 슬픈 일입니다. 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그 많은 불법촬영범 중 처음으로 포토라인에 선 사람이 여성이라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분노했다. 현저히 빠른 수사 속도와 온 사회의 관심, ‘2차 가해’를 막겠다는 재빠른 움직임을 보며 그렇게 할 수 있는 거였냐고, 그런데 왜 그간 여성들의 피해 사실에는 침묵해왔던 거냐고, 못 하는 건 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가슴 속에 묵은 한(恨)의 심리학2018.04.29
- 그 일만 생각하면 분통이 터져서 견딜 수 없습니다. 밤에도 자다가 벌떡 일어나게 됩니다. 시원하게 복수하고 싶습니다. 아예 확 죽여버리고 싶습니다. 아니면 경찰에 고소하여 엄청난 배상을 받아내는 상상도 합니다. 가슴이 꼭 죄이도록 고통스럽다가, 금새 통쾌한 기분이 듭니다. 절대 잊지 않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에 대해서도 ‘이게 다 네가 노력하지 않아서’, ‘네 능력이 나빠서’그런 거라며 개개인의 노력과 능력을 나무라는 이야기들을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미 높은 지위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하는 건, 본인의 지위가 불공정의 산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 ...
- 댓글은 죄가 없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8.04.20
- 박근혜 전 대통령이 최순실이라는 사인에게 자의적으로 권력을 넘겨준 국정농단이 벌어졌을 때, 박 정권을 무너뜨린 것은 광장에 모인 시민이었다. 분노한 시민들이 광장에 모여 이야기하지 않고 집에서 혼자 소리쳤다면 대통령 탄핵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광장은 중립적이다. 국정농단에 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GIB 제공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 자존감을 수호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 그러니까 자기 자신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는 대단하다. 일례로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는 것과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다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그래도 아직 나는 대단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사랑해서 죽였다? “사랑해서 그랬다”는 변명을 흔히 들을 수 있다. ‘그랬다’에는 심한 집착과 구속,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거나 염산을 붓는 일, 심지어 살해하는 행위까지 포함되곤 한다. 사랑한 나머지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우발적’ 범행을 했다며 함께 끄덕여 주는 사람들도 어렵지 않 ... ...
- [뉴로섹시즘]② 남·녀에게 어울리는 색은 따로 없다2018.03.23
- 가장 급진적인 색, 핑크. 딱 10년 전으로 돌아가자. 2007년과 2008년 즈음, 핫핑크는 새로운 색깔로 대두됐다. 인터넷 유저들은 ‘사나이는 핫핑크’라며 핫핑크가 남자의 색이라고 불렀다. 물론, 핑크와 남자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인상을 비튼 유머다. 하지만, 사실 핑크는 정말 남자의 색이었다. 미 ... ...
- [성은 스펙트럼이다] ③ 성별로 떠나는 여행2018.03.21
- 성 결정, 물음표로의 여행 지난한 논쟁의 끝은 어디일까. 밝히려고 했으나 아무것도 밝히지 못했다. 성별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문장에 달려있는 느낌표로 시작해 성기, 염색체 그리고 호르몬까지 거쳐온 이 논쟁의 끝은 결국 물음표다. ‘성별은 XX염색체와 XY 염색체로 결정된다’는 마침표가 있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