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감
육감
환상
직각
감각성
지각력
유정
뉴스
"
직관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앞에 피아노 건반이 딱! ‘K-글라스 3’ 개발
2016.02.26
ISSCC)에서 처음 공개됐다. 유 교수는 “K-글라스 3을 통해 기존의 안경형 컴퓨터에
직관
적인 사용법을 결합하는 데 성공했다”며 “미래 스마트 모바일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K-글라스 3을 착용한 모습. - KAIST 제공 ... ...
[101년 만에 중력파 검출] 수십년 간 중력파 쫓은 ‘영웅’들
2016.02.12
당시에는 아인슈타인의 넋두리가 사실이었다”며 “결국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대단한
직관
력과 통찰력이다”라는 말도 덧붙였다. 손 교수는 러시아 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진정한 공동연구였다”고 팀워크를 강조하며 “이번 연구결과는 시작에 불과한 뿐이며 중력파를 이용한 ... ...
[어플연구소] ‘네이버 가계부’ vs ‘똑똑가계부’
동아일보
l
2016.02.02
가계부를 쓰다말다 반복했는데 이 앱 덕에 꾸준히 쓰고 있어요.” “지출내역 차트가
직관
적이라 보기 편하다.” “한 번씩 문자를 못 읽는 경우가 있다. 인식률이 더 좋아지면 좋겠다.” “결제수단마다 잔액이 보이지 않는 부분만 개선되면 완벽하겠어요.” ▷해당 제작사의 다른 앱 클레브앱스는 ... ...
[조창현의 신차명차 시승기]중형세단의 교과서 혼다 ‘뉴 어코드’
동아닷컴
l
2016.01.21
중형세단으로서 안정감을 갖춘 세련된 디자인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실내는
직관
적이고 운전자 친화적으로 편안하게 설계됐다. 마감 소재로 유광을 많이 사용해 가벼운 느낌도 있지만, 가죽과 우드 그레인을 곳곳에 넣어 이전 세대보다 한층 고급스럽게 꾸몄다. 이밖에 셀프 일루미네이션 ... ...
렉서스, 럭셔리 쿠페 LC500 북미서 최초 공개
동아닷컴
l
2016.01.12
강성을 확보하고 멀티링크식 서스펜션을 통해 운전자의 조작이나 노면으로부터 반응에
직관
적인 스티어링 느낌을 실현했다. 파워트레인은 렉서스 F모델에서 계승한 V형 8 기통 5.0리터 엔진에, 새롭게 개발한 10단 자동변속기를 브랜드 최초로 채용했다. 안전 및 편의 사양으로는 전방 차량과 ... ...
뇌가 느끼는 좋은 집짓기 ‘신경건축학’을 아시나요
2015.12.06
뇌과학자 등이 한 자리에 모여 신경건축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교환했다. ● 경험·
직관
아닌 과학적인 근거가 토대… 정신질환 개선도 기대 주변 환경을 개선해 심리적 안정을 꾀하려는 연구는 사실 과거에도 있었다. 벽지의 색깔, 창밖 풍경 등이 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 ...
“코딩이 이렇게 쉽다면 드론도 만들 수 있을 것”
2015.12.04
제공 김정훈 동아사이언스 SW융합교육팀장은 “아이루프를 이용하면 매우 단순하고
직관
적으로 코딩할 수 있지만 그러는 사이 학생들은 순서나 반복, 병렬, 조건 같은 코딩에 필요한 요소들을 생각하며 논리적인 사고를 발휘해야 한다”며 “코딩한 뒤 곧바로 하드웨어를 동작시킬 수 있어 최근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탈출해야만 하는 것. 그래비티가 보여준 위기 속 탈출 방법이 일반인 상식 수준내에서
직관
적이었다면, 인터스텔라의 위기는 위기 자체가 (일반적으로) 비현실적인 만큼 과학적 상상력이 극대화된 해결책을 보여준다. 회전하는 블랙홀(커 블랙홀)에서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가는 ‘에르고 스피어’ ... ...
[신나는 공부]‘만점’이 답이다… 3가지 실수 금물
동아일보
l
2015.09.08
말고 근본적인 수학적 원리에 충실해 문제를 풀어야 한다”면서 “원리를 눈으로
직관
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프를 그려보는 방법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대표적 실수유형 ― 9월 모의평가 수학B형 21번 정적분과 관련된 이 유형은 정형화된 풀이법인 적분 계산으로는 답을 맞히기 쉽지 않다.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즐기다간 사고 난다. 버들리는 훈련을 받아야만 탈 수 있는 기계가 아니다. 30초면
직관
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새처럼 양팔을 퍼덕여 날갯짓을 하면 떠오르고, 몸을 기울이면 방향을 틀 수 있다. Q. 체험하는 사람들이 진짜 새가 되어 하늘을 나는 것 같은 실재감을 느낀단 말인가. A. 실재감이 커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