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개똥불
반딧불
반디불
형작
형광도료
도료
뉴스
"
형광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발표된 논문보다 4.4배 많은 특허가 나온 셈이다. 200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경우 226편의 논문이 7717건의 특허 출원으로 이어졌다. ... ...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차세대 고성능 리튬공기전지 기술 개발) △윤주영 이화여대(생체 주요물질 이미징용
형광
센서 개발 및 분자인식 연구) △조재필 UNIST (리튬이차전지 양극·음극 소재 원천기술 개발) △박남규 성균관대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석상일 UNIST(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성 향상) ... ...
모기 통해 확산되는 미세플라스틱
동아사이언스
l
2018.09.21
성충이 되기 전에 배출되는 것을 확인했다. 모기 성충의 복부를 찍은 사진으로
형광
색부분이 미세플라스틱이다. 연구진은 2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성충이 될때까지 배출되지 않고 남아있을 확률이 크다고 설명했다. -University of Reading 제공 성충 때까지 남아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3관.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09.21
31건을 분석했다. 심 교수팀은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해서 금사의 성분을 알아냈다. X선
형광
분석기는 시료에 X선을 쪼였을 때 시료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X선의 파장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를 분석하는 장치다. 분석 결과 고려와 조선의 금사는 얇은 ... ...
조류 인플루엔자 위험성, 30분 만에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헤마글루티닌이 성공적으로 잘린 경우 나타나는 융합 펩티드에 반응해 빛을 내는
형광
나노 입자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두 종류의 가위(효소)와 나노입자를 이용해, 실제로 고병원성과 저병원성 바이러스를 빛으로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고병원성은 모든 가위(효소)에서 빛을 내는 반면, ... ...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
2018.08.22
반딧불이의 발광 현상을 이야기한다면 알에서 나오는 빛이나 애벌레가 반짝이는
형광
색 빛은 설명이 되지 않는다. 반딧불이의 빛은 짝짓기를 위한 통신 수단이기도 하지만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시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생존을 보장하는 비장의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 짝을 유인하는 발광 능력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자외선 차단제 잘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8.08.03
충분하다. 창문을 통해 자외선 B가 대부분 걸러지고,
형광
등에서 나오는 자외선도
형광
등 안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성분이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제공 제품의 물성도 차단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실 차단 효과를 높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차단제의 농도를 ... ...
초소형 로봇 몸 속 주입, 세포 원하는 곳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위치에 정확히 세포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마이크로로봇에
형광
처리를 한 암세포를 담아 실제 쥐에 넣어 원하는 위치에 암세포가 정확히 전달된다는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재생의학이나 세포 기반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 ...
[과학사진관] 숨바꼭질은 인내심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식물조직 중 기공에 도입한
형광
단백질이 발현하는 것(진한
형광
색)을 촬영한 것이다.
형광
단백질을 입히지 않았다면 과연 구분할 수 있었을까? 단풍이 진 산을 항공으로 촬영한 이미지 위에 선명한 연두색 얼룩이 떨어진 듯 이질적이면서도 묘한 이미지다. 작가의 TIP 공초점 현미경(Confocal ... ...
[표지로 읽는 과학] RNA 전사체가 좌우하는 세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02
전략이다. 5월의 마지막 날 (31일 현지시각) 나온 학술지 ‘사이언스’의 표지는 각종
형광
을 띤 세포들로 나타낸 제브라피쉬가 차지했다. 이번 호에는 대표적 실험동물인 제프라피쉬나 아프리카발톱개구리(Xenopus laevis)의 수정란 (배아) 세포가 특정 장기 세포로 결정되는 과정을 밝힌 미국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