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학"(으)로 총 3,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2022.07.05
- 이용하면 다른 추측도 해결할 수 있으니 함께 논문을 써보자는 메일이었다. 그때 난 그냥 대학원생이었고, 카츠는 당시 박사후 연구원으로 경험 많은 수학자였다. 혼자 내 논문을 보고 연구 결과를 낼 수도 있었는데, 함께 연구를 제안해준 것이다. 너무 고마웠다. 이후 한 학회에서 만난 동료도 ...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2022.07.05
- 각자가 가진 재능이 폭발적으로 터져 나오는 각자의 별의 순간은 언제 올지 모른다. 대학에서 전공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그를 3학년 때부터 지도교수 역할로 끌어주고 수학으로 전공을 바꾸도록 도와준 김영훈 교수는 멘토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졸업을 앞두고 서울대 석학교수 ... ...
- [2022 필즈상] 필즈상은 어떤 상인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수학동아DB 필즈상은 국제수학연맹(IMU)이 4년마다 주최하는 세계수학자대회(ICM)에서 만 40세 미만의 수학자에게 수여되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과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노 ... 알레시오 피갈리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교수, 코체르 비르카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는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졸업 △2009년 서울대 수학과 석사 졸업 △2012년 ‘리드 추측’ 해결 △2014년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 졸업 △2014년 ‘메이슨-웰시 추측’ 해결 △2014년 ‘딤카-파파디마 추측’ 해결 △2014년 ‘호가 추측’ 해결 △2017년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 △2018년 ‘로타 추측’ 해결 △2018년 2018 ICM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시와 소설 즐겨쓰던 수학자 필즈상 수상 영예 안았다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로타 추측’도 해결했다. 김 교수는 “허 교수가 수학자로서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이 있다”며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모든 걸 이룬 끝이기보다는 시작일 것”이라고 말했다. ... ...
- 김승희 복지부 장관 후보자 사퇴…정호영 이어 새 정부 두 번째동아사이언스 l2022.07.04
- 중 낙마 사례는 2명이 됐다. 첫 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정호영 전 후보자는 자녀 대학입시와 관련해 일명 ‘아빠찬스’ 논란으로 청문회를 거친 끝에 5월 24일 자진 사퇴했다. 후보자가 연달아 장관직에 오르지 못하면서 복지부 장관 공백 사태는 장기화되고 있다. 권덕철 전 장관은 5월 25일 ... ...
- 대학병원 견제하는 개원의들…비대면진료 두고 의료계는 살얼음판 분위기동아사이언스 l2022.07.04
- 진료는 여러 이해당사자의 다양한 입장차가 존재한다”며 “상급의료기관인 대학부속병원의 이번 갑작스러운 비대면 진료 확대 발표는 의아할 뿐만 아니라 의도 또한 의심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날선 모습을 보였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또한 "의협 대위원회는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의 의견 ... ...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서 분리된 큐브위성 양방향 교신은 ‘아직’동아사이언스 l2022.06.30
- 2019년 열린 제5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조선대, KAIST, 서울대, 연세대 4개의 대학팀이 직접 제작, 개발한 결과물을 누리호 성능검증 위성에 탑재해 발사한 것이다. 앞서 해외 발사체를 이용해 4차례 큐브위성을 발사한 사례에서는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사례는 없었다. 자체 개발 ... ...
- 코로나19 '국산 1호' 백신, 개발부터 품목허가까지동아사이언스 l2022.06.30
- mRNA·바이러스벡터 백신보다 보관 용이 스카이코비원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미국 워싱턴대학 약학대 항원디자인연구소(IPD)와 공동 개발했다. IPD의 항원기술과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면역증강제가 활용됐다. 스카이코비원은 기존 노바백스 백신과 같은 유전자 재조합 방식이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2022.06.30
- 항목이다. 교수와 대학은 맬서스적 비극에 매몰되고 있는 과학계의 현실 및 해당 대학원과 연구실의 현실을 신입생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할 의무가 있다. 예를 들어 이번에 윤 교수 연구실에서 논문표절을 시도한 학생이 소속된 연구실이 50명이 넘는 공장형 실험실은 아닌지, 교수와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