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부정적"(으)로 총 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동아사이언스 l2020.01.16
- 향상과 총 노동시간 증가 사이에 0.15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생산성이 고용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이 2017년 산업용 로봇이 미국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로봇 도입이 일자리 순감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2020.01.14
- 늘어 반신욕 논리에 따르면 체온이 낮아지면 면역력이 떨어질 것이고 따라서 수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텐데 어떻게 수명이 늘어난 이유가 될 수도 있다는 말인가. 지난 200년 사이 기대수명이 크게 는 건 의료 발전과 환경(영양과 위생) 개선 덕분 아닐까. 2002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2020.01.07
- 사람들은 카페인에 둔감한 편일 것이고 따라서 수면장애를 유발해 치매 위험성을 높이는 부정적 영향력은 생각보다 작을지 모른다. 지난해 학술지 ‘유전자(Genes)’에 실린 논문을 보면 그런 것 같다. 프랑스군생의학연구소 연구자들은 18~60세 프랑스인 1023명을 카페인 섭취량에 따라 세 그룹으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2020.01.03
- 연구에서, 연구원과 학생의 숫자가 일정한 규모를 넘어가면 영향력 있는 논문 출판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연구진은 398명의 영국 의생명과학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연구실의 규모와 지난 5년간 논문의 양과 질을 교차비교했고,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박사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2019.12.03
- 이르자 2016년 노벨상 수상자 107명은 GMO를 지지한다는 서한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부정적인 어감이 큰 GMO 대신 ‘정밀농업(precision agriculture)’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서한의 수신자는 ‘그린피스와 유엔, 각국 정부의 지도자들’이다. 이들은 특히 그린피스에게 “황금쌀에 대한 반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살로 이어지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2019.11.30
- 동반하는 경향을 보인다. 많은 PTSD 환자들이 분노와 불안, 소외감, 죄책감, 불신 같은 부정적 감정들과 힘겨운 싸움을 벌이며 다른 정신질환을 앓을 확률 또한 높은 편이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환자들의 약 29%가 자살 행동을 보이는데 PTSD 환자들은 이 수치보다도 더 높은 약 57%가 자살 행동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2019.11.26
- 명암이 있다지만 노이즈캔슬링은 볼륨을 줄여 청력을 보호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이 부정적인 면(이동하다 위험 ‘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해 사고가 날 수도 있다)보다 훨씬 큰 것 같다. 이게 바로 착한 기술 아닐까. 노이즈캔슬링 이어폰이라도 1000Hz 이상 고음은 수동식 소음 조절에 의존한다. ... ...
- "AI, 인간 자유와 권리, 존엄성 보장해야" 첫 AI 윤리원칙 제정동아사이언스 l2019.11.12
- 특히 지능정보서비스의 제공과 이용 과정에서 데이터 사용이 프라이버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한다. 지능정보사회 구성원들은 데이터의 활용을 통한 기술적 이익의 향유와 프라이버시 보호 사이의 균형을 위해, 지속적인 의견 교환에 참여한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2019.11.12
- 간이 맞았다고 느껴도 실제로는 소금이 너무 많이 들어갔을 수 있다. 이래저래 소금의 부정적인 영향에 취약해진다는 말이다. 의식적으로라도 싱겁게 먹도록 식습관을 바꿀 필요가 있는 이유다. 우리나라 보건당국은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소금 섭취 절감 캠페인을 펼쳐 7년 만에 29%를 줄이는 ...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2019.11.09
- 길어졌다는 주장인데, 흔히 '체구 증가 가설'이라고 한다. 환경의 개선이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했다는 일종의 불일치 가설이다. 불일치 가설이 가장 많다. 가까운 곳을 너무 보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것을 보지 못해서라는 주장도 있다. 즉 산도 보고, 바다도 보고, 벌레도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