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속품
부분품
부속부붐
부속물
부대물
재료
부속
스페셜
"
부품
"(으)로 총 548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 홍릉·경북 구미 등 강소특구 6개 신규 지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연계 전략을 실행한다. 전북 군산은 군산대를 기술 핵심기관으로 삼아 친환경 전기차
부품
소재를 토대로 전기차 클러스터 중견기업 등 지역 민간기업과의 협력 특화 모델을 구축한다. 경북 구미는 기술 핵심기관으로 금오공대와 함께 구미 산업단지 소재 대기업과의 연계 전략을 통해 스마트 ... ...
서울 을지로-청계천 제조업의 새로운 시도를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된 계기와 과정을 소개했다(위 사진). 삼영기계는 선박 엔진
부품
을 생산하던 기업이지만, 주물 공장을 해외에 이전해야 한다는 압박을 맞았다. 하지만 국내 최초로 샌드 3D 프린터를 자체 개발하며 목형이나 금형 없이 주물공정부터 시제품 제작까지 공정을 혁신하고 ... ...
"중국 추격, 미중갈등에서 앞서나가려면 '소부장 2.0'로 맞서야"
2020.07.20
시행된 조치에 국내 산업과 과학기술계에 비상이 걸렸다. 하지만 정부가 곧바로 소재·
부품
·장비(소부장) 분야 연구개발(R&D) 투자 및 세제지원 등 대응책을 세우고 한달여 만인 8월 말 100대 핵심전략품목을 관리하기 위한 분석에 들어가면서 오히려 국내 장기적인 생태계 흐름을 다잡는 계기가 ... ...
인공지능 기반 공정 최적화 연구로 금형 주조 불량률 절반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불량은 육안으로도 바로 확인 가능하다. 황호영 박사는 “다이캐스팅 공정으로 제작한
부품
은 연마하고 필요한 가공 공정을 거친 후 최종 품질 검사에서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며 “생산하자마자 불량 여부를 알 수 있다면 불량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데 그게 안 되기 때문에 어려운 ... ...
[이덕환의 과학세상]소부장2.0 성공을 기원하며
2020.07.15
수출 규제를 스스로 감당해내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물론 일본산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절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양국 관계가 아니더라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원자재의 구입처나 제품의 판매처를 ... ...
[표지로 읽는 과학]여러달 걸릴 실험 며칠 만에 끝내는 '로봇 화학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1
등장한다. 자동차 공장 등 산업현장에 널리 사용되는 팔 모양의 로봇이다. 하지만 자동차
부품
대신 화학약품이 담긴 플라스크를 들고 있다. 로봇이 있는 곳은 공장이 아니라 화학 실험실이다. 앤드루 쿠퍼 영국 리버풀대 화학과 교수팀은 상용화된 로봇에 알고리즘을 도입해 연구 및 산업 ... ...
'日 수출규제 넘어 글로벌밸류체인 위기 대응한다' 소부장2.0 달라진 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9
기업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정부는 이달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소재·
부품
·장비 2.0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발표한 ‘소부장 경쟁력강화 대책’이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적 차원이라면 이번 대책은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소부장 강국으로 ... ...
소형 발사체 작은 거인 로켓랩 쓴잔 마셨지만 다시 '도전'
2020.07.07
비용을 크게 줄였다. 3만여개의 로켓
부품
을 1000여개로 대폭 줄였다. 엔진을 포함한 로켓
부품
을 3D프린터와 탄소섬유로 만들어 제작비용을 줄였다. 일렉트론엔 총 10기의 엔진이 들어가는데 엔진 1기는 24시간 안에 3D프린터로 찍어낼 수 있다. 발사비용은 소형 위성의 무게와 개수에 따라 약 800 ... ...
“뉴스페이스 옥석 가려지기 시작…한국형발사체도 타깃 분명히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5
시장의 강자로 우뚝 선 원동력은 가격 경쟁력이다. 안 교수는 “로켓 재활용 기술,
부품
범용성, 발사 운용 체계 개선 등으로 가격경쟁력과 신뢰성을 확보한 스페이스X가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며 “발사체 아리안5를 보유한 유럽연합(EU)과 H2 발사체를 보유한 일본 등이 발사비용을 40~5 ... ...
[과학게시판]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현장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2단계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국가연구인프라 2단계 지정안은 ‘소재
부품
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현식대책의 후속 조치다. 기술역량 강화와 산업현장 지원을 위해 13개 국가연구실과 5개 국가연구시설, 15개 국가연구협의체를 지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