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공학"(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동아사이언스 l2016.09.19
- 사이언스, 네이처 제공 과학저널 ‘네이처’ 15일자 표지에는 하와이 언어로 ‘알랄라(alala)’라고 불리는 하와이 까마귀의 모습이 실렸다. 크리스천 러츠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미국 샌디에이고동물원 보존연구소, 영국 배스대 등과 공동 연구 결과 하와이 까마귀가 도구를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빛과 색은 그동안 뇌 속 신경세포(뉴런)들의 활동을 기록하는 데 사용돼 왔지만, 최근 기술 발전으로 빛을 뇌 조직 속의 더 깊은 곳까지 전달할 수 있게 돼, 뇌 질환 치료법 향상의 길을 열게 됐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지난 6월 '2016년 10대 유망 기술' 중 하나로 광유전학을 꼽으며 선정 이유를 이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생명과학자들이 선망하는 최상위권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는 8월호에 나무블록을 룰렛(원반형 도박게임) 형태로 쌓아 올린 그림을 표지에 올릴 예정이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팀이 쓴 논문에 들어 있던 작은 원 그래프를 화려한 느낌이 나도록 바꾸어 그린 ...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동아사이언스 l2016.07.10
-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가오리를 모방해 만든 초소형 ‘가오리 로봇’이 장식했다. 실제 가오리 크기의 10분의 1(무게 10g, 몸통 너비 16㎜)로 만든 이 로봇은 청색광(光) 자극으로 근육을 조종해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이다. 한국인 과학자인 박성진 미국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2014년 위안부와 관련해 이상한 글을 발표해 지금은 정떨어졌지만 1990년대 국내 독서계에서 시오노 나나미의 인기는 대단했다. 1992년부터 매해 한 권씩 펴낸 ‘로마인 이야기’는 가히 열풍 수준이어서 일본에서 취재를 왔을 정도였다. 역사책은 잘 안 읽는 필자조차 3, 4권까지는 읽은 것만 봐도(2006 ...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말 그대로 '다사다난'한 해였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1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무장괴한들이 총기 테러를 일으켰고 4월 네팔에서는 모멘트 규모 7.8의 대지진이 발생해 8천 명이 사망했다. 5월에는 우리 ...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IBS l2015.12.28
-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점점 더 작은 세계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이제는 원자 수준에서 물질의 기존 성질을 변형하고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초미립자의 영역, 나노 기술이다. 나노 기술은 100 나노미터(nm) 이하 수준의 원자나 분자를 조작하고 제어해 물질의 구조나 ... ...
- 선진국의 원전 현황과 신규원전 (2)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20
- (편집자 주)프랑스, 영국, 미국 등 원자력 발전소를 오래도록 운영해온 국가들의 원전운용 현실을 살펴본다. 프랑스, 영국, 미국 순으로 게재한다. 영국은 정부가 에너지개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정책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석탄은 물론 1970년대부터 북해에서 생산되는 석 ...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2015.11.02
- 박테리아가 있는 곳 어디서나 박테리오파지가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 ...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2015.08.24
- 갖는 생명체를 만드는 분야를 요즘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라고 부른다. 합성생물학은 유전공학이나 대사공학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합성생물학이 적용된 최초의 상업화 사례는 1982년 출시된 ‘휴물린Humulin’이다.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 정보를 담은 DNA가닥을 합성한 뒤 대장균에 집어넣어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