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동
혼잡
난잡
무질서
분규
당황
복잡
스페셜
"
혼란
"(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축소 논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 선발기준에 연구역량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 이슈토론회에서 “개선안이 확정되면 제도의 변화로 인한
혼란
을 막기 위해 3년의 유예기간을 둘 것“이라며 “국방부와 협의해 조속히 안을 내놓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국방부의 전문연구요원 제도 축소 방침에 대한 해법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이름을 현지 발음에 맞게 고쳐서 표기하는 바람에 이분의 유명한 옛 이름이 잊혀 다소
혼란
스러울 때도 있다. 옛날에는 이분의 이름을 유클리드라고 불렀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인류 역사상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렸다는《스토이케이아(원론)》를 써서 기하학을 집대성했다. 이를 유클리드 ... ...
'과학'은 사라지고 '사회' 더 강조한 이상한 과학교육표준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물질’에 들어가 있다”며 “표준에 ‘자기장’은 있는데 ‘전기장’은 다루지 않아
혼란
스럽다”고 꼬집었다. 과학과 사회의 연계성을 과도하게 강조하다보니 사회가 지나치게 강조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 교수는 “이번 표준에서 과학의 개념을 설명하는 분량은 NGSS의 20%에 그친다”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가져야 한다는 점이었다. 이처럼 엄격한 조건을 만족해야만 새 정의에 따른
혼란
을 줄일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도 기존의 질량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킬로그램 단위가 다시 정의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그렇다면 지금까지의 질량이 달라지는 건가, 내 몸무게도 달라지나, 이런 얘기가 많이 ... ...
DGIST에 도대체 무슨일이…전임 총장들부터 IBS연구단까지 비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대한 감사는 모두 이미 지난해~올해 연초 진행된 일로 뜻밖의 사건이 아닌 만큼 큰
혼란
은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국 총장이 취임하면서 시끄럽고 길던 내홍의 과거를 청산하고 미래로 나아가겠다는 목표를 밝혔고 4월에는 과기특성화대 가운데 세 번째로 비정규직 연구직과 행정기술직의 정규직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도량형제가 반포됐다. 군국기무처 역사자료. 국가기록원 도량형이 제각각이라 사회가
혼란
스러웠던 것은 서구도 마찬가지였다. 1789년 대혁명 때 프랑스 민중들이 세상을 뒤엎은 다음 가장 먼저 요구했던 사항 중 하나가 새로운 도량형의 제정이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미터법이다. 미터법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어느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
2019.05.16
보면 추정된 사실을 동요시키고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들며 배후를 폭로하고 방향감각을
혼란
시키는 일을 가장 잘 해 온 분야가 바로 과학이다. 이 과정에서 인류가 다시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길을 발견하도록 도와준 것도 과학적인 방법론이 대표적이다. 과학전공자의 눈으로 보자면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
2019.04.30
것과 개념상 동일하기 때문인 듯했다. 그러나 숫자를 담은 변수와 문자열을 합치는 것은
혼란
스러워 했다. 변수를 더하기 빼기 할 수 있는 숫자라고 하더니 왜 이번에는 단어와 같은 문자냐는 질문이다. 제법 날카로운 질문이다. 하지만 필자의 대답은 궁색할 수밖에 없었다. 글자와 변수를 합칠 때는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⑥ 쉬운 것은 어렵고, 어려운 것은 쉽다
2019.03.19
찰스 디킨슨의 소설 ≪두 도시 이야기≫ 는 시작한다. 인간과 기계의 역할 구분에
혼란
이 생긴 현재에 대해서도 여전히 유효한 은유로 보인다. 코딩 교육에 대한 아이의 반응이 궁금했다. 필자에게 교육 경험은 사실상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대학 시절 과외 아르바이트와 사회 진출 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들어간 형태다. 수소(H)와 헬륨(He)을 오른쪽 위에 따로 배치했다. 강석기 제공 IUPAC은 이런
혼란
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보고 2015년 12월 이 문제를 해결할 소위원회를 구성했는데 위원장이 바로 에릭 세리 교수다. 올해로 4년차임에도 아직 결론을 내지리 못한 것을 보면 쉬운 문제가 아닌가 보다.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