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5,0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라크전 임박 계기로 본 미래전쟁
과학동아
l
200303
인류는 정보혁명으로 인한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을 목격하고 있다. 18세기 말부터 오늘
날
에 이르기까지 약 2백년 동안 인류의 발전을 이끌어온 산업문명 패러다임이 정보문명 패러다임으로 전환됨에 따라 전쟁 수행방식과 양상도 본질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산업시대의 전쟁 방식 및 양상과는 ... ...
새의
날
개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것
과학동아
l
200302
새의
날
개가
날
기 위해서가 아니라 빨리 달리거나 비탈길을 잘 올라가기 위해 처음 사용됐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 1월 17일자에 보 ... 또한 그는“새의 조상인 공룡이 오랜 시간 동안 이같은 과정을 거쳐 오늘
날
과 같이
날
수 있는 새의 형태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02
세계대전을 통해 둘다 급속히 발전됐지만, 결국 로켓만이 우주발사체로 선택돼 오늘
날
까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메이저리그에서 밀려난 대포는 한 천재과학자에 의해 마이너리그에서 우주여행의 꿈을 키워왔다. 그의 이름은 캐나다 과학자 제럴드 불 박사. 대포 설계의 천재인 불 박사는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02
급속히 팽창하는 플라스마는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데, 이 충격파는 목표물을
날
려버릴 정도로 매우 강하다. 이 고에너지 펄스 레이저 무기는 레이저 충격파에 의한 물리적 충격뿐만 아니라 엄청난 굉음과 표면을 녹이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갖고 있어 다양한 살상 및 비살상무기 개발로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02
일’이 전부인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졸업 후 2년 간 농사를 짓던 박 박사는 어느
날
농사일과는 상관없는 ‘번듯한’공부를 해야겠다고 결심하고 서울로 향했다. 그런데 여러가지 여건을 고려할 때 가장 최선의 선택은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3학년으로 편입하는 것이었다. 이때 박 박사는 ‘이게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02
은하수는 여름 은하수와는 달라서 그 존재가 그리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날
씨가 좋은
날
이면 은하수가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음을 느낄 수 있고, 은하수 속에서 좀더 뭔가 뭉쳐져 있는 듯한 뿌연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명확하게 보이지 않지만 신기하게도 그 위치는 이들 산개성단이 있는 위치와 ... ...
[KAIST] 운전자까지 포함한 원전 디지털화
과학동아
l
200302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대신 아
날
로그 방식에 없는 문제가 생긴다. 디지털 방식은 아
날
로그 방식에서는 없던 소프트웨어를 쓰며 이런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리 작은 소프트웨어의 결함이라도 허용되지 않는 극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복잡한 수학적 기법까지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02
유전자를 물려받기 때문에 유전정보가 100% 같지는 않다. 외모도 원본과는 차이가
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한다.그렇다면 복제인간을 ‘시간차가 벌어진 일란성 쌍둥이’가 아니라 ‘시간차가 벌어지고, 서로 다른 세포질을 가진 일란성 쌍둥이’라고 불러야 정확할 듯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2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컬러프린터를 이용한 지폐 복사나 문서 위조는
날
이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다. 다행히 리플리가 서명을 위조할 때나 콜롬보가 수사하던 때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정교한 과학수사 장치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지문처럼 사람의 개성적인 필체를 정확히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
과학동아
l
200302
CD나 반도체 메모리가 아니라 박테리아 게놈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될
날
이 올지도 모르겠다.미 국립 북서태평양 연구소의 왕백충 박사는 지난 1월 3일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특정 메시지를 인공DNA 형태로 만들어 박테리아 게놈에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왕 박사는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