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일어나서 언젠가 이뤄질, 아니 이뤄질 수 없을 지도 모르는 아이디어들에 대한 소중한 밑그림을 그린다. “아이디어는 곧바로 써놔야 해요. 그래야 나중에 어떤 연관된 일이 생기면 연상작용이 가능해지거든요. 그런 것들이 연결돼 새로운 아이디어가 만들어지는 것이예요. 그리고 관습을 타파하는 ...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전체적으로는 일목요연한 느낌을 준다. 전기 작가 바사리에 따르면 라파엘로는 이 그림에서 플라톤은 화가 레오나르도의 초상으로, 맨 앞자리 복판에 비스듬한 탁자에 기댄 철학자는 미켈란젤로의 초상으로 그렸다고 한다. 존경하는 두 선배 화가에게 붓의 영광을 바친 셈이다. 그러나 원근법의 ...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자유자재로 융합되던 오감을 몸 밖에서 이루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사람은 문자, 그림, 소리,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를 만들었다.하지만 안타깝게도 아날로그 시대에서는 각각의 감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융합할 수 없었다. 신문 따로, 라디오 따로, 텔레비전 따로, 즉 사람 몸 안에서는 가능했던 오감 ...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그리고 다음으로 좀더 정밀하게 미세한 불순물까지 걸러주는 정밀여과 단계를 거친다(그림1).마지막은 후처리 과정으로 분리막으로 처리하기 곤란한 잔류염소나 냄새를 활성탄이 채워진 여과기로 제거한 다음 살균처리를 한다. 냄새도 입자이기 때문에 미세입자가 잘 달라붙는 활성탄을 이용하는 ...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수 있다. 또한 필터 기능을 활용하면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마치 수채화나 유화로 그린 그림처럼 만드는 것도 아주 쉽다.아무리 디지털 카메라가 편리하다고 해도 아직까지는 인화지에 인쇄돼 나온 사진을 가족이나 친구들끼리 돌려가며 보는 즐거움을 빼놓을 수 없다. 이때 가장 쉽게 이용할 수 ...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철을 뽑아내는 기술과 철의 장점을 터득했다 하더라도 자연에 철이 많지 않다면 철은 그림의 떡으로 끝났을지도 모른다. 지금은 많은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대체됐다 하더라도 건축 자재나 각종 도구의 재료로서 철의 사용량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일단 철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왜 자연에는 철이 ...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그는 오늘 나노세계에 감춰진 자연의 질서를 찾아내기 위해 머릿속에서 어떤 그림을 그리고 있을까임지순 교수가 걸어온 길1951년 서울 출생,서울사대부속초등학교, 경기중, 경기고 졸업1974년 서울대 물리학과 졸업1977년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물리학 석사1980년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물리학 ...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정오 해가 아래 그림처럼 커다란 빙산 위에 떠 있었다. 문제 1-3의 정답에 가장 가까운 그림을 보기에서 고르고 문제 4에 간단히 답해보자.(1) 어제 오전 10시에는 해가 어디에 있었을까? ( )(2) 오늘 정오 해가 어디에 있었을까? ( )(3) (빙산이 녹거나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6개월 뒤 정오 해는 어디에 ... ...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최대공약수와도 일치한답니다. 이 관계를 계속해서 이어가는 방법이 바로 호제법입니다. 그림의 예에서는 A = 168, B = 90이고 168을 90으로 나눈 나머지 R = 78이지요. 호제법에 따르면 168과 90의 최대공약수가 90과 78의 최대공약수가 일치합니다. 여기서 이번에는 90을 A로, 78을 B로 사용하면 90을 78로 나눈 ...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그림에선 강사가 TV에서 강연을 하고, 그것을 보던 시청자가 소파에 앉아 잠을 잔다. 이 그림 밑에는 ‘이것은 기면 발작이 아니다’라고 써있다. 그러나 소파에 앉은 시청자는 TV를 쳐다보고 있는데, TV 속의 연사가 졸고 있다면? 이것이 바로 기면 발작이라는 것이다.주위 사람들의 삶까지 파괴절대로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