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경우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신체 부위 중에서 진동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낮은
부분
은 발이다. 착석한 상태에서 전신진동과 비교해볼 때 1/4 정도의 민감도를 나타낸다.[1Hz 이상의 진동은 우리 몸에 즉각적인 불편함을 가져온다. 온도가 낮을수록 불편함을 더 크게 느끼므로 에어컨 송풍구를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한다. 하지만 할리우드 영화인 ‘트랜스포머’나 ‘해리포터’ 시리즈 등을 보면 영화 대
부분
에 CG를 거리낌 없이 사용한다. ‘믿는 구석’인 ‘하이브리드 슈퍼컴퓨터’가 있기 때문이다.[하이브리드 슈퍼컴퓨터를 사용하면 화려하면서도 실제감 넘치는 컴퓨터 그래픽과 다양하고 복잡한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모자라 추가로 가슴과 배마디에 독성 덩어리인 실 뭉치 같은 뭉툭한 털과 머리와 배 끝
부분
에 독으로 가득 찬 예리한 연필심 같은 가시털로 중무장한 종류가 있다. 이 애벌레는 더부룩한 털을 가진 나방을 뜻하는 ‘tussock moth’라는 이름을 갖는 종류다. 머리 근처에 삐삐 머리를 갖고 있다. 위협을 ... ...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때가 있다. 어느 한 미션이 걸릴 확률은 룰렛 전체 넓이에 대한 그 미션이 차지하는
부분
의 넓이를 계산해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한 확률은 ‘기하학적 확률’ 이라고 한다.예를 들어 오른쪽과 같은 룰렛 판이 있다고 가정하자. ‘꼬막 3000개 캐기’ 미션이 당첨될 확률을 1/6 이라고 하면 안 되고,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많이 쓴다. 양장 제본은 종이를 묶는 가장 튼튼한 방식이다.공책을 쓰다가 필요 없는
부분
을 찢을 일이 많다면 스프링으로 제본한 공책이 좋다. 이 공책은 종이가 한 장씩 따로 묶여 있다. 공책을 반으로 접어 쓰기에도 편해 책상 위의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스프링 공책은 종이의 왼쪽이나 위쪽에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많이 받았다고 한다. 물론 미국을 비롯한 교육 선진국으로 불리는 나라들의 잘된 제도도
부분
적으로 흡수했다. 인도네시아의 초등 교육은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6년 과정인데, 상위 10% 정도의 학생들에게 조기 졸업(5년 과정)을 적극 권장한다. 가장 특이한 점은 우리나라에서도 인문계와 실업계로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는 마그마 바다의 물질은 충격에 밀려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트로이 달이 달라붙은
부분
이 달 뒷면에 있는 높은 산지에 해당한다. 그리고 밀려난 달 마그마 바다의 물질은 KREEP인데, 현재 달 앞면에 주로 있다. 이 가설에 의하면 달 뒷면에서 발견되는 물질은 트로이 달에서 왔기 때문에 원래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만들어졌다. 별의 핵융합으로 만들 수 있는 원소는 철이 한계다. 그보다 무거운 원소는 대
부분
‘중성자포획’으로 만들어진다. 중성자가 원자핵에 포획된 뒤 베타붕괴를 일으켜 양성자로 바뀌면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우라늄과 토륨 같은 무거운 원소들은 중성자의 밀도가 아주 높은 ... ...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대기권을 통과하면 공기 저항 때문에 암석이 녹을 정도의 큰 마찰열이 생긴다. 녹은
부분
이 떨어져 나갈 때 찰흙을 엄지손가락으로 누른 것 같은 모양이나, 빗살무늬 같은 흔적을 남긴다. 운석을 깨뜨려보면 마찰열로 타서 검게 된 겉과 밝은 색의 속이 선명하게 구별된다. 운석 중 일부는 독특한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paradox)’이라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화살은 활을 겨눌 때 화살촉
부분
이 활과 맞닿는
부분
인 줌통(정확히는 출전피)을 스치면서 날아간다. 화살이 조준된 방향은 활의 두께 때문에 줌통을 쥔 손과 시위를 당긴 손이 이루는 힘의 직선 방향과 약간 어긋나게 된다. 이 차이 탓에 화살은 활을 떠날 때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