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로 통하는 문을 열었다.”비소 박테리아를 발견한 NASA 우주생물학 연구소의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는 연구의 의미를 이렇게 표현했다. ‘GFAJ-1’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박테리아는 지구의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원소 6가지인 탄소(C), 수소(H), 질소(N), 산소(O), 인(P), 황(S) 중 ... ...
- 토종 로봇 휴보, 미국-싱가포르 수출과학동아 l2011년 01호
- (USC). 펜실베니아주립대 6곳이다. 또 싱가포르의 IT전문 국책연구기관인 ‘정보통신연구소(I²R)’도 최근 휴보2 두 대를 구입하기로 하고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수출액은 8대를 모두 합해 400만 달러 정도다.휴보센터는 이번 수출로 세계 로봇연구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준호 ...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해양퇴적물 시추기가 있고 30m급 시추기도 1~2년 안에 도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극지연구소 고기후고해양연구팀은 이런 장비를 이용해 이미 퇴적물을 시추하고 있다. 아라온 호는 지난해 12월 5일 세종기지를 떠나 남쪽 200km 떨어진 브랜스필드와 웨델 해로 향했다. 이후 이 지역을 항해하며 ... ...
- 선박저항추진학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다. 한국해양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와 같은 정부 연구기관에서 일할 수도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2학기 재학 중이다. 특수한 학문으로 느껴지는 선박저항추진학에 좀 더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갖기를 ... ...
- 라디오 방송으로 앙가봉데 업숑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페선던입니다….”1906년 12월 24일, 최초 라디오 방송이 시작됐다. 그 주인공은 에디슨 연구소에서 일했던 미국의 무선공학자이자 피츠버그대학교의 교수인 레지널드 페선던이었다.“제 목소리가 들리시나요? 크리스마스를 맞이해 헨델의 음악을 들려…지지직….”최초 라디오 방송의 역사적인 ... ...
- 크리스마스와 찰떡궁합! 떡볶이의 대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입 안에서 사르르 녹는 부드러운 크림과 쫄깃한 떡의 맛! 일단 한번 먹어 보라구! 떡볶이연구소에서는 맛있는 소스를 이용해 네덜란드나 일본, 미국같은 나라에 떡볶이를 열심히 알리고 있어.귀여운 하트 모양 떡을 이용하기도 하고, 크림소스나 카레소스처럼 그 나라의 특색에 맞는 소스를 ...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수 있는 파리 로봇이 실제로 있어요. 지난 2007년 7월에 미국 하버드대학교 마이크로로봇연구소가 파리의 움직임을 그대로 본떠 만들었지요. 이외에도 매미나 잠자리를 본뜬 스파이 로봇도 있답니다. 더 작은 스파이 로봇도 있어요. 바로 ‘스마트 더스트’라고 불리는 똑똑한 먼지들이에요. 작은 ...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적응력이 1억 6500만 년 동안 지구에 살 수 있었던 비결이 아닐까요?"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 학예연구관)오렌지색 공룡이 있다?오호호~! 엄마 옆에서 두 발로 뛰어가는 아기 공룡이 너무 귀엽다고? 하지만 아직 놀라기엔 이르다구! 이번엔 우리의 생김새가 어땠는지 보여 줄 차례야 ...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모습이 나왔다. 백합●2010 니콘 스몰월드 12등●그레고리 루즈●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배율 10배마치 백합이 피어나는 것처럼 보이는 쌍각조개의 모습. 가방을 멘 멸치●2010 니콘 스몰월드 수상작 후보●로버트 베르단 박사●캐나다 과학예술멀티미디어●배율 10배새끼 연어의 배에 달려 있는 ... ...
- 글 못 읽는 사람, 사람은 더 잘 알아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사람의 얼굴을 더 잘 알아본다는 재미있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프랑스 인섬시아심리학연구소의 스타니스라스 데하네 박사는 글을 읽을 수 있는 어른 22명과 어린이 31명, 그렇지 않은 어른 10명에게 사람 얼굴을 보여 주면서 뇌의 반응을 *자기공명영상장치로 관찰했어요. 그랬더니 글을 읽지 못하는 ... ...
이전316317318319320321322323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