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유래했다고 전해져요. ‘붉을 적(赤)’은 ‘불 화(火)’와 ‘흙 토(土)’로 이루어져요.
큰
불(火)이 나면 땅(土)이 붉게 보인다는 뜻에서 이 한자가 만들어졌지요. ‘길 도(道)’는 ‘쉬엄쉬엄 가다’는 뜻을 지닌 ‘책받침(辶)’부수와 ‘머리 수(首)’가 더해진 한자예요. ‘머리 수(首)’는 ... ...
Part 4. 무너진 건물에서 사람을 구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뱀 로봇을 실제 구조 현장에 투입시킬 수 있었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뱀 로봇은
큰
활약을 보이진 못했어요. 실제 현장에서는 카메라로 살펴보는 것보다 스피커와 마이크로 생존자가 내는 소리를 듣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거든요. 호위초셋 교수는 “현장 경험을 통해 소중한 교훈을 얻었다”며,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도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 건물이 기울거나 도로가 무너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지요. 경주 지진은 처음 지진이 발생한 후 일주일 뒤까지 강한 여진이 이어졌어요. 11월 20일 오전 9시까지 발생한 여진은 총 58차례예요. 국토교통부는 여진으로 인한 추가 피해가 없도록 긴급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잠에 대해 더 공부해 보았어요. 이번 계기로 적절한 시간 동안 깊이 자는 것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기자단 친구들도 건강한 생활을 위해 너무 늦은 시간에 잠들지 않기로 약속해요! 헬로키티 생일파티에 다녀왔어요! (도예진 기자·수원 대평초 2학년)지난 11월 1일,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우리나라 숲의 최상위 포식자,담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사냥할 수 있다고 해서 예로부터 전해지는 말이지요. 담비는 멧돼지나 고라니처럼
큰
포유류는 물론 곤충과 파충류, 나무 열매 등 다양한 먹이를 먹어요. 먹이를 구하기 위해 하루에10~20km 정도를 돌아다니지요. 담비는 1960년대까지 전남 목포에서부터 강원도 일대까지 전국 산지에 살았어요. 그런데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근거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목 구조가 머리 박치기를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거예요.
큰
뿔야생양이나 사향소는 일정 시기가 되면 수컷들끼리 서로 뿔을 부딪치는 전투를 해요. 이때 동물들은 머리와 목, 몸을 일직선으로 만들어요. 그래야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영향을 받지요. 그 중에서 우리 몸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건 바로 빛이에요. 가장
큰
문제는 ‘꿀잠’을 자기 어렵다는 거예요. 밤에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잠이 오게 만들어요. 그런데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과정은 ‘청색광(블루 라이트)’이라는 빛에 영향을 받는다고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우와! 이 드론은 정말 크네요!”정원모 연구원은 사람보다 훨씬
큰
드론 앞으로 친구들을 안내했어요. 사방에 프로펠러가 달려 있었지요.“드론은 자동차를 대체할 새로운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어요. 이 드론의 크기는 가로, 세로 3.5m 정도지요. 종이로 만든 모형이지만,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약 1000분의 1 정도로 적게 들어요. 따라서 실험을 여러 번 하거나 도중에 실패하더라도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답니다. 최근에는 큐브샛의 역할이 더 다양해지고 있어요. 지난 2014년부터는 기술 검증을 위해 만들어지는 비율이 20% 정도로 줄었고, 지구 관측이나 우주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고 있지요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있어요. 추력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돼요. 산화제와 연료를 태워서 ‘팡’ 하는
큰
힘을 만들어 한 번에 멀리 가는 ‘고출력 출력기’와 플라즈마 이온을 조금씩 내보내서 천천히 이동시키는 ‘저출력 추력기’가 있지요. 저출력 추력기는 같은 거리를 가더라도 고출력 추력기보다 연료를 적게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