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038건 검색되었습니다.
버릇을 못 버린 반려견
팝뉴스
l
2020.02.16
습관이나 버릇은 평생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반려견도 비슷한 모양이다.
위
사진이 그 증거가 된다. 미국의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사진은 어릴 때 휴지를 물고 노는 걸 좋아하던 강아지가 커서도 똑같이 행동한다는 설명과 함께 공개된 것이다. 사진 속 반려견은 귀엽다는 게 ... ...
호수 속에서 꽁꽁 얼어버린 악어
팝뉴스
l
2020.02.15
튀어나와 있다. 자세히 보면 바로 악어의 주둥이이다. 악어는 한파로 꽁꽁 언 얼음
위
로 입을 내밀고 있는 것이다. ‘샬롯 강 늪 공원’ 측이 페이스북에 공개한 영상을 보면 악어는 모두 얼어 죽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냉혈 동물은 코를 물 밖으로 내밀고 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고 ... ...
[인터뷰] 공대 연구실로 간 아티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15
'스누맥스'. 스누맥스는 바퀴의 모양을 바꿀 수 있는 로봇으로, 좁은 길에서는 바퀴를
위
아래로 길게 만들고 모래밭에서는 바퀴를 좌우로 길게 만들어 운전한다. 처음엔 몸의 크기도 변하게 할 목적으로 천산갑을 닮도록 만들었으나, 개발 과정에서 몸체 크기를 변화시키는 기능은 빠졌다. 서울대 ... ...
국회 문턱 못넘는 ‘R&D혁신 특별법’ 부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지난해 9월 2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
핱 특별법안 대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여야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결국 계류됐다. 1월에도 임시국회가 열렸지만, 과방
위
가 개최되지 않아 특별법은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 ...
[먹거리과학]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02.14
항목이 있으면 등급을 낮췄지만, 이제부터는 다른 항목들도 개별적으로 평가해 그중 최하
위
등급을 고기의 최종 등급으로 정한다. 마블링이 아무리 좋아도 다른 평가 항목에서 낮은 등급을 받으면 최종 등급이 낮아질 수 있다는 뜻이다. 조직감은 앞서 설명한 지방 성분 외에도 콜라겐과 지방산 ... ...
중국서 코로나19 사망자 1천500명·확진자 6만5천명 육박
연합뉴스
l
2020.02.14
1천685명은
위
중한 상태다. 앞서 중국 전국 통계를 발표하는 국가
위
생건강
위
원회(
위
건
위
)는 13일 0시 현재 전국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5만9천804명, 사망자는 1천367명이라고 밝혔다. ... ...
‘방·단 갑옷’ 입은 태양 극지 탐사선, 600도 고열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것”이라고 설명했다. ESA는 태양이 내뿜는 뜨거운 열로부터 솔라 오비터를 보호하기
위
해 프랑스 우주항공기업 에어버스와 함께 특수 열 차폐막 소재인 ‘솔라 블랙’을 개발했다. 박막과 인산, 칼슘 성분으로 만든 솔라 블랙은 열 차폐막 가장 바깥에 적용됐다. 에어버스의 미셸 스프레이크 ... ...
모든 교통정보 LED로 전달 ‘싸인텔레콤’···‘산업융합선도기업’으로 날개 달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박 대표는 “점점 혼란스러워지는 지하철 내에서 디지털 종합안내도를 누르기만 해면 내
위
치가 어디인지 바로 알 수 있고 어디로 갈지도 표시해준다”며 “어쩌다 지하철을 타는 외지인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외국인 관광객에게는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도 다 찾아봤으나 ... ...
테이프처럼 붙이는 복합산화물 박막 제조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통해 떼어 붙이는 공정을 발전시켜 점차 상용화될 플렉시블 전자기기에 광범
위
하게 쓰일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이달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 ... ...
옷깃만 스쳐도 전기 잡는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방향의 움직임을 수직 방향으로 바꿔주는 머리카락 모양의 나노구조물을 마찰전기 소자
위
에 붙이는 방식을 제안했다. 기둥 모양의 나노 구조물이 수평 방향의 힘에 따라 휘면서 수직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체에 힘이 집중됐다 분산하는 고정에서 힘을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