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어느 수준에서 감정이 폭발할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런 모습은 핵전쟁을 앞둔 나라 사이에서도 발견됩니다. 마우스님도 섭섭한 부분이 있다면 여자친구에게 솔직히 말하고, 대화 방식을 바꿔서 핵전쟁 같은 비극을 피하시길 바랍니다.결국 스스로 자신감을 갖고 서로의 감정에 솔직하라는 ... ...
- [생활] 인간을 닮은 컴퓨터, 인공지능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수준이다.‘UN 미래보고서’에 따르면, 2045년이면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는 인공지능이 나올지도 모른다. 빌게이츠, 스티븐 호킹은 인공지능이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하지만 무작정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W콘텐츠연구소의 김현기 박사는 “인공지능 ... ...
- [참여] 게임카페 두 번째 시간 세상에서 하나뿐인 나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맵을 직접 그려 보일 만큼 게임디자인 실습에도 열의를 보였다. 오 교수는 “한붓그리기나 미로 찾기, 관 조립하기 등 다양한 게임 속에는 수학이 들어 있다”면서 “수학적 원리로 게임을 만들면 규칙이 단순해지기 때문에 훨씬 재미있다”고 설명했다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요인도 선호하는 색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이슬람 국가들의 국기를 생각해보세요.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방글라데시, 알제리, 리비아 국기는 모두 초록색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슬람에서 초록색은 오아시스를 상징하며 사람들을 신성한 땅이라고 여기기 때문입니다.서울시는 2008년 서울 ... ...
- [Life & Tech] 저 하얀 설원 위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15˚ 간격으로 나눈 24절기, 즉 입춘에서 시작해 대한으로 끝나는 절기력을 기준으로 하지요.* 가장 먼저 드는 절기가 입춘, 그러니까 양력 2월 4일에 띠가 바뀌는 겁니다. “헉! 올해 2월 1일에 태어난 내 조카도 그럼 말띠였던 거야?”이제 해가 뉘엿뉘엿 질 시간이네요.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덕분에 단 몇 시간 만에 이렇게 맞춤 의수를 만들 수 있네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정말 좋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PART3. 4D 프린팅의 ...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계획이 있나요?A 당장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동료 작가들과 전시회를 여는데, 제가 인공위성을 만들 때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구하는가 같은 깨알 팁들을 소개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원래 제가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예술이란 무엇일까. 손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대상에 흔적을 남기는 것을 예술의 정의라고 한다면, 자연이 만든 돌멩이인 이 작품은 결코 예술의 범주에 들지 못할 것이다. 하지 ... 시대를 거친 뒤 터져 나온 목소리였다. 이 목소리는 한 곳에서가 아니라 지구 곳곳에서 동시에 터져나왔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수소차에 딱! 저렴한 탄소촉매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촉매는 내구성이나 안전성도 좋다. 탄소 촉매로 연료전지를 만들면 백금 촉매보다 6배나 오래 쓸 수 있고, 합성 과정도 간단하다. 주 교수가 만든 탄소 촉매는 지난해 4월 화학분야 최고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에 ‘가장 주목받는 논문’으로 소개됐다.“상용화까지 앞으로 20년”주 교수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다만 이 분야는 국제 유가에 영향을 받습니다.Q 바이오이미징 기술 중 MRI의 장점은CT나 X레이보다 MRI는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MRI의 기본 원리는 물속 수소원자가 자기장에 반응하는 것인데, 우리 몸의 70%가 물입니다. 맘만 먹으면 뇌 속 동맥, 정맥, 뉴런(신경세포) 등 거의 모든 곳을 뇌를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