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실대로 말씀드릴 수 있게 됐다. 그는 “제가 이미 잘 짜인 환경이 아닌, 처음부터 모든 것을 짜야 하는 환경에서 열심히 하는 모습을 처음 보셔서 그런지 부모님도 응원을 많이 해 주신다”고 전했다.중요한 건 세계의 흐름이야!만나CEA의 올해 목표는 뭘까? 전 대표는 앞으로 판매할 작물의 종류를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수 있도록 CGC를 CGT로 변환하는 최적화 작업이 필요하다.이런 이유로 아직 첼로를 모든 종에 적용하지는 못한다. 연구팀은 “첼로는 현재 대장균에 최적화돼 있는 언어”라며 “각종 박테리아와 인간의 소화관에서 주로 발견되는 슈도모나스균, 맥주효모균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있다”고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작품은 ‘인간이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 땅을 기어다니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는 창세기 1장 26절의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다시 염기서열로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염기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박테리아에 주입했다. 배양접시 위에 올려진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상으로 가장 먼저 연구를 시작했다. 처음엔 인간의 말을 직접 가르치려고 했다. 그러나 모든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고, 1970년대 과학자들은 ‘대형 유인원은 현재의 인간과 같은 소리를 낼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이후 과학자들은 그림문자를 가르치는 쪽으로 연구 방향을 틀었다. 인류가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부전공을 허락받기 위해 해밀턴이 찾아갔던 인류학 교수 에드먼드 리치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오직 문화로부터 유래하며 유전자는 전혀 무관하다고 굳게 믿는 사람이었다. 훗날 에드워드 윌슨의 역작 ‘사회생물학’을 놓고 거센 논쟁이 벌어졌을 때 윌슨을 가장 혹독하게 비판한 장본인이기도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한기에 부들부들 떨며 될 수 있는 대로 고통스럽게 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류와 나의 모든 죄를 속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독과 더 많은 고통이 필요하다고. (그러나 과연 존재 자체가 원죄일 수 있을까? 그렇다면 존재에서 비롯된 원죄를 도대체 어떻게 속죄할 수 있을까? 존재에서 비롯된 ...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추정하는 통계기법인 ‘최대우도추정법’을 통해 3만 개의 텍스트를 분석했습니다. 모든 단어에 대해 등장 빈도와 순위를 조사한 결과 지프의 법칙은 40% 정도 들어맞았습니다. 자주 나오는 단어만 조사할 경우 법칙이 맞을 확률은 더 높아졌습니다.연구진은 빅데이터와 방대한 컴퓨터 연산의 시대에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입을 벌리는 바람에 쥐가 인간 세상으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이에 신이 ‘세상에 있는 모든 쥐를 잡을 때까지 하늘로 돌아오지 말라’고 해 지금까지 인간 세상에 쥐와 고양이가 살고 있다고 합니다.이집트 신화는 인간 세상으로 돌아온 고양이가 첫발을 디딘 곳이 이집트라고 전합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는 생각을 눈으로 볼 수 있게 그림, 그래프, 도표 등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효율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생각을 그림으로 시각화해 효율을 올려주는 것이 바로 시각적 사고다.나. 시각적 사고의 단계다.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시각적 사고x, y가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방법을 사용했을 때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예상하기는 무척 어렵기 때문에, 모든 경우를 일일이 확인해 보면서 최적의 모델을 찾아야 한다. 세부적으로도 인간의 직관과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은 구조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신경망을 설계하더라도, 연구자의 노하우에 따라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