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실대로 말씀드릴 수 있게 됐다. 그는 “제가 이미 잘 짜인 환경이 아닌, 처음부터 모든 것을 짜야 하는 환경에서 열심히 하는 모습을 처음 보셔서 그런지 부모님도 응원을 많이 해 주신다”고 전했다.중요한 건 세계의 흐름이야!만나CEA의 올해 목표는 뭘까? 전 대표는 앞으로 판매할 작물의 종류를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모션그래픽)으로 만들어 왔다. 한 해 남짓한 기간 동안 만든 그래픽이 40개가 넘는다.이 모든 작품을 만든 이는 담당 이영혜 기자와 박찬웅 디자이너였다. 그런데 아쉽게도, 박 디자이너가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과학동아를 떠나게 됐다. 새로운 곳에서도 좋은 작품을 선보이길 기대하며, 아쉬움의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작품은 ‘인간이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 땅을 기어다니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는 창세기 1장 26절의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다시 염기서열로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염기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박테리아에 주입했다. 배양접시 위에 올려진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된다. 각 부위별로 부패 정도를 판단하는 메기에시 박사의 방법론은 큰 주목을 받았다. 모든 부위가 동일한 속도로 부패하지 않기 때문에 예전처럼 몸 전체를 이용해 시체의 부패 정도를 판단하는 경우 연구자들 간에 일관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또 세 부위의 점수를 더한 종합신체점수의 범위가 3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자는 같이 연구할 동료를 찾을 수 있다. 김 교수는 “한빛사는 커뮤니티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이 관심 있어 할 만한 정보”라며 “브릭이 연구자 커뮤니티로 성공하게 된 계기”라고 했다.2002년 ‘잡(Job) 공감’이라는 게시판이 개설돼 누구든 글을 쓸 수 있게 됐다. 사용자가 늘면서 2004년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입을 벌리는 바람에 쥐가 인간 세상으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이에 신이 ‘세상에 있는 모든 쥐를 잡을 때까지 하늘로 돌아오지 말라’고 해 지금까지 인간 세상에 쥐와 고양이가 살고 있다고 합니다.이집트 신화는 인간 세상으로 돌아온 고양이가 첫발을 디딘 곳이 이집트라고 전합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삼각형의 세계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정삼각형으로 이뤄져야 하는 다면체도 있다. 바로 ‘델타다면체’다. 델타다면체는 모든 면이 정삼각형이어야 하지만,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는 달라도 되는 볼록다면체다. 여러 모양의 델타다면체를 만들어보며 삼각형 세계의 더 깊숙한 곳으로 빠져보자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하는 생각을 눈으로 볼 수 있게 그림, 그래프, 도표 등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또한 모든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효율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생각을 그림으로 시각화해 효율을 올려주는 것이 바로 시각적 사고다.나. 시각적 사고의 단계다.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시각적 사고x, y가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방법을 사용했을 때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예상하기는 무척 어렵기 때문에, 모든 경우를 일일이 확인해 보면서 최적의 모델을 찾아야 한다. 세부적으로도 인간의 직관과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은 구조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신경망을 설계하더라도, 연구자의 노하우에 따라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