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탁구로봇도 등장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물체
를 확인, 연산회로에서 해석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이 로봇과 같이 떠오르는
물체
를 확인, 팔을 동작시키는 데까지는 지체 시간이 있기 때문에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그 말뜻을 알아서가 아니고 단지 음파의 차이를 구별하기 때문이다. 개의 눈은 움직이는
물체
만 식별할 뿐 가만히 있는 사물에 대한 인식능력은 극히 부족하다. 설령 주인이라 할지라도 1백50m 이내에 들어와야 반기게 되고 그 이상의 거리에 있거나 다른 옷을 입었을 때는 잘 알아채지 못한다. 개가 ... ...
고고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는 주사전자현미경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있다. 천연고무는 물과 섞일 수 있는 수성(水性)이어서 농도를 적당히 조절해준다면 대상
물체
에 물이 묻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부분까지도 스며들어가 정확한 틀을 떠낼 수 있다. 또 한가지 문제점은 사용하는데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주사전자현미경 1컷 찍는데 3만원이 ... ...
감마선의 시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있어 감마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올해 초, 제트추진연구소의 천문학자들은 관측하고 있는
물체
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보고하였다. 감마선은 수십억도의 온도를 가진 가스가 존재하는 지름 3백마일 정도의 작은 부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 정도의 온도에서는 가스는 전자―양성자 ... ...
PART3 소련의 포보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이동하면서 표면의 전파탐사나 TV촬영도 계속한다. TV화상의 분해능력은 6Cm로 극히 작은
물체
도 식별된다. 3개의 파장 영역에서 가느른 스펙트럼 분석도한다. 화성표면의 온도분포나 광물조성 분포도 조사한다.위성 표면을 이동하면서 관측이번 관측에서 획기적인것은 여러가지 실험장치를 적재한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올려놓았다면 신기전의 최대 발사 각도는 기껏해야 20도 정도 밖에 되지 못한다.어떤
물체
를 멀리 던질때, 가장 좋은 발사 각도는 45도이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문종화차는 신기전이 발사될때 신기전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셈이다. 최대 발사각도가 20도 정도인 일반 ... ...
알기 어려운 쿼크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정말 원자가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그 무엇일까? 혹은 원자 그 자체도 더욱 작고 단순한
물체
로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20세기 초, 과학자들은 원자도 하나의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원자의 외곽에는 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원자핵이 있는데, 원자핵은 미세하여 하나의 원자만큼 ... ...
화염병에서 콤포지션C4까지 폭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것이 아니라 이것의 증기가 공기중에 포함된 농도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연소반응은
물체
의 표면에서 일어난다. 성냥불을 켜서 그 연소형태를 잘 관찰해 보면 성냥개비의 표면에서 가스상태의 물질이 발생하고 그 가스가 타는 것을 알 수 있다. 액체도 표면에서 증기가 휘발, 연소한다.따라서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먼길을 떠났던 것이다.
물체
의 움직임은 '변화'를 의미한다. 사람들은 변화하는 자연적인
물체
에 자신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물 해 달 모래 등의 변화는 시간 측정의 유용한 도구가 되었다.해시계는 다른 모든 것에 앞서 '관찰의 용이함'이라는 이점을 지닌데서 최초의 시계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했던 피사의 사탑 실험을 재현해 보았다. 조성은 다르지만 질량이 같은 두개의
물체
를 떨어뜨린 다음 예민한 레이저간섭계로 가속도 차이를 측정했으나 가속도의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다. 제5의 힘 확인에 실패한 셈이다. 한편 미국 브룩헤븐국립연구소의 '피터 티버거'는 수조(水槽)를 이용한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