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Pacific)사의 대표 마이클 댈링의 말이다. 이 회사는 일본 회사인 선토리(Suntory)와 함께
새
로운 장미꽃을 개발하고 있다.이 파란 장미의 가격을 올려놓는데는 애국심도 한 몫을 했다.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국기가 모두 붉은색 흰색 파란색을 사용한다.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이나 ... ...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방법들을 설명했던 점이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달나라로의 여행은 회오리바람이나 큰
새
가 끄는 마차라거나 천사 혹은 저승사자의 힘을 빌리는 등 공상으로만 가능했었다. 그런데 시라노는 사람들이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들을 설명했으며 무려 일곱가지나 고안해내는데 성공했다.1. 뼈의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개정이 따르긴 했지만. 어떤이는 코볼을 잡초와 같다고 했다. 아무리 뜯어내도 어느
새
다시 피어나는 언어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코볼은 깐깐한 과학자들의 성미엔 도무지 맞지 않았다.현대 언어의 산파 알골언어자체에 관심이 많은 학자들은 정말로 깨끗하고 아름다운 언어를 만들어 보려고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
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신용카드 위조방지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홀로그래피기술은 정보기록 매체로, 인체영상촬영장치로, 차세대신무기로, 예술표현도구로 그 응 ... 맥락에 놓고 이해할 수 있다. 그 매체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믿음은 인류의 삶과 문화를
새
로운 각도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G7수준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고급과학기술인력 중 4천명이상을 배출할 계획인 KAIST에
새
삼스레 요구되는 '홀로서기'는 커다란 난관이 될 수도 있다.그러나 그간 '위로부터의 통합'의 경험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정치권의 일방적인 통제에서 벗어나 KAIST운영의 자율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알다시피 핀치는 참
새
과에 속하는
새
다. 최초로 갈라파고스군도에 들어온 핀치
새
는 단일종이었으나 섬마다 조금씩 다른 서식처와 먹이에 적응한 결과, 몸통(크기) 부리의 모양 등이 조금씩 달라졌다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견해를 고집하고 있다.어떻든간에 일반적인 지열에너지와 관련된 그동안의 경험은 이
새
로운 에너지 공급원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불확실한 것으로 만들고 말았다.COOLING DOWNOne sure way of getting energy is extracting it from the Earth itself. The Earth's hot springs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새
로운 서체를 개발할 틈이 없으며, 일부 디자이너들이 타이틀용 서체를 중심으로
새
한글 서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기는 하나 본격적인 한글 본문용 서체의 개발은 아직까지 요원하다. 다행히 근래에 들어서 몇몇 선도적인 업체에서 서체 관련 기술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서체도 점차 개발이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자그마치 2백40억년이 걸릴 것이다. 우주가 시작이 있고, 끝이 있느냐하는 토론은 완전히
새
로운 골격을 갖추어야 했다. 이것은 정지우주와 같이 단지 형이상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실제 물리학적으로 시작과 끝이 우주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했다.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과 허블의 적색이동의 ... ...
희귀생태계 간직한 알다브라, 관광지로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15만마리에 이르는 거북과 인도양에서는 유일하게 이 지역에만 남아있는 날지 못하는
새
들의 보금자리로 보존돼 왔다.관광지로 개발된다고는 하나 위락시설이 들어서는 유흥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이곳의 독특한 생태계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고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에 한해서만" 개방될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