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d라이브러리
"
유명
"(으)로 총 4,334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영국의 여성 동물행동학자 제인 구돌은 침팬지의 사회행위를 20년 이상 연구한 것으로
유명
하다. 침팬지는 40살까지 살기 때문에 구돌 여사처럼 오랫동안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침팬지는 전원을 좋아하고 평화스러운 동물로서 인식됐으나, 오늘날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침팬지는 50-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이 위성은 1992년 8월 11일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기지(아리안로켓 발사기지로
유명
한 곳)에서 발사됐다. 그리고 얼마 후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우리별 1호’는 1천3백km 상공의 태양동기궤도(항상 인공위성이 태양을 바라보는 궤도로 태양전지의 발전에 도움을 줌)를 돌기 시작했다.막상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수상했다. 또 1969년에는 인슐린의 입체구조를 밝혀내기도 했다. 그녀는 1947년 완고하기로
유명
한 영국왕립협회에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입성했으며, 네덜란드와 미국 과학아카데미의 외국회원이 되기도 했다.호지킨이 최고의 X선 결정학자라면 로절린 얄로(1921-)는 방사선면역분석 분야를 개척한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다. 방사화분석은 나폴레옹의 모발을 분석해 그 속에 들어있는 비소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
하다. 이 때문에 나폴레옹이 독살된 것은 아닌지 논란이 일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소와 한국자원연구소에서 방사화분석을 통해 다양한 과학실험을 하고 있다.또 방사선을 암치료나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냥꾼으로 군림하게 했다.감각기관과 지능지수공룡은 우둔한 동물이었을까? 미국의
유명
한 고생물학자 오트니엘 마쉬는 1879년 아파토사우루스(Apatosaurus)를 연구하면서 조그만 뇌를 보고 ‘우둔하고 느릿느릿 움직이는 파충류’라고 언급했다. 이 말은 아직까지 공룡들의 지능을 대변하는 말로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룩했다. 특히 이휘소 박사는 호프트와 벨트만의 논문을 보다 쉽게 설명한 것으로
유명
하다. 만일 이휘소박사가 살아있었다면 노벨상을 같이 받았을지도 모른다고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그러나 역사에서 가정은 없다. 여담으로 호프트와 벨트만은 사제지간이었음에도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황금 양가죽’의 주인공이다. 하지만 양자리는 무엇보다도 황도 12궁의 첫째 별자리로
유명
하다. 약 3천년 전 황도대 별자리가 만들어질 때 양자리에 춘분점이 있어 양자리는 황도 제1궁이 됐다. 그래서 ‘춘분점’이라는 단어는 ‘양자리의 원점’이라는 뜻으로 표기되고 있다. 점성가들은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aspirin)이라고 이름지어서 1899년부터 판매했다. 당시 호프만은 지금도 아스피린으로
유명
한 제약회사인 바이에르에서 화학자로 일하고 있었다.이렇게 합성된 아스피린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유럽에서 유행했던 독감 치료에 성공을 거둠으로써, 먹기 좋고 안전한 해열·진통제로 전 세계 모든 가정의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인터넷방송을 검색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캐스트서비스는 패러디사이트로
유명
한 딴지일보의 김어준씨가 직접 기획한 딴지방송도 운영할 예정이다.MS, 한글 메신저 서비스기존의 전자우편보다 쉽고 빨라 인기를 누리고 있는 메신저, 마이크로소프트는 MSN의 다른 커뮤니케이션 툴과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유로 로봇들이 작업하는 현장에는 철저하게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통제됐다.
유명
한 SF작가였던 아이작 아시모프(1920-1992)가 “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 하며, 생명체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되며, 자기자신을 파괴할 수 없다”는 로봇 3원칙을 정한 것은 로봇이 발전했을 때의 위험성을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