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항상 같은 방향에서 보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시간이 오래 지나면 동쪽에서 서쪽
하늘
로 일주 운동해 보이는 방향이 변한다.달까지 평균거리가 38만㎞임을 생각할 때 이보다 4백배 멀리 떨어진 태양에서 오는 광선은 거의 평행이며 이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북극성에서 오는 빛은 거의 완전한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고다드가 만든 5.5kg 로켓이 시험대로부터 2.7초 동안 올라갔다. 이것이 자체의 무게를
하늘
로 올려보낸 최초의 액체 추진제 로켓이었지만 공식적인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몇달 뒤인 1926년 3월16일 미국 남부의 사막 지대인 뉴멕시코주의 노즈웰에 있는 에덴계곡에 실험실과 로켓발사장이 세워졌다. 1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먼지 등을 핵으로 하여 무리를 지어 떠다니게 된다. 이것이 지표 가까이에 있으면 안개,
하늘
에 있을 때는 구름이라 불리는 것이다.비란 이같이 하여 구름이 된 작은 알갱이가 수없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 구름 알갱이의 반경은 평균 수십 미크론 정도고, 빗방울의 반경은 0.1-1mm. 즉 구름의 ... ...
PART.2 학습·오락용 특선 21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수도 있다.● 장르 : 시뮬레이션● 가격 : 2만 5천원터보 사이언스비행기는 어떻게 해서
하늘
을 날며 전구는 왜 빛을 낼까. 또 자석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교육과 게임을 혼합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성격의 게임으로 게임을 통해 중력을 비롯한 낙하 속도, 뉴턴의 법칙 등 과학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strange attractor)라고 명명했다.우리 주변의 도처에서 난류는 끊임없이 출몰하고 있다.
하늘
의 난기류나 바위 주변의 소용돌이는 비행기를 추락시키거나 거대한 홍수를 일으키면서 인류에게 엄청난 재앙을 안겨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류에 관한 연구는 오랫동안 불모지로 남아 있었다. 난류는 ... ...
고속정찰기를 우주과학연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파일로트까지 붙여 빌려준 것이다.이 SR-71s 2호기에 자외선비디오카메라(UVC)를 탑재하여
하늘
을 탐사하는 미소천체소천 프로그램(MCBSP)이 1993년 3월9일부터 시작돼 있다.MCBSP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주체가 되어 진행하고 있는데, 5월에는 1993e슈메이커-레비혜성을 관측한 바 있다. 이 혜성 1993e는 ... ...
새벽 동쪽
하늘
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목동자리 아크투루스와 처녀자리 스피카를 잇는 '봄의 대곡선'이 서서히 모습을 나타내는 3월. 이 달 중순에는 달과 금성이 랑데부하는 모습 ... 이동하고 있다. 동쪽에 나타난 사자자리는 화려한 겨울철의 별자리들이 물러난 동쪽
하늘
을 레굴루스를 앞세워 평정하여 독야청청하는 느낌이다 ... ...
하늘
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몇개의 이중성들을 예로 들어보자. 다음의 표기 방법과 자료 그리고 간단한 묘사는 '밤
하늘
관측'의 성도 부분에서 인용한 것이다.① α(별) Leo(별자리) 1.3+7.6(분리각) 307(위치각) 1924(연도) : 레굴루스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볼 수 있는 이중성으로 전형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반성은 귤색이며, 태양 ... ...
빛의 밀도비 f수에 따른 망원경 선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많은 확대를 할 수 있도록 초점 길이가 긴 망원경(f수가 크다)이 필요하다.즉 먼
하늘
물체의 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을 얼마나 밝게 해주느냐이고 행성이나 이중성 관측에서 중요한 것은 상이 일그러지지 않게 얼마나 많은 확대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보통 망원경 제작에 있어서 같은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장마철이나 초속 14m 이상의 강풍에서는 날리면 안된다. 연을 날리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하늘
에 새가 날지 않으면 연을 날리지 말라 는 격언이 안전 수칙처럼 지켜지고 있다. 새가 없으면 날리지 말라연을 날릴 때는 바람을 등지고 올려야 띄워야 하는데, 깃발이 날리는 방향이나 애드벌룬이 떠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