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1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당신 내민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희망'이다
2019.06.22
대다수가 다른 인간과 제대로 된 대화라는 걸 해 본 경험이 없다고 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
이다. 사랑과 관심을 받으면 하늘을 나는 듯 행복해지고 사랑과 관심을 끈임없이 갈구하는 존재다. 반면 미움을 받거나 사회적으로 매장당하면 지옥을 맛보는 존재라는 뜻이다. 제대로 된 인간을 만드는 건 ... ...
실시간 감염병 감시기술로 '제2 메르스 사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붙을 수 있는 항체를 개발했다. 바이러스를 쥐나 토끼 등 포유
동물
에 감염시킨 다음 비강에 생긴 항체를 꺼나 농축시키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최근에는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파지디스플레이로 항체를 대량생산하는 일이 가능하다. 신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가오리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로봇은 구동 시간의 한계가 컸다. 연구팀은
동물
이 피를 동력원으로 활용하듯 액체 배터리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전해액을 활용하는 2차전지인 레독스 흐름 배터리(RFB)를 활용했다. 배터리에 음극액과 양극액을 막으로 분리한 채 담으면 둘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북극이라고 하면 빙하 위 흰 북극곰을 가장 먼저들 떠올리지만, 실은 꽃도 피고
동물
도 사는 곳입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이후 본래 연구와 별도로 개인 시간과 연구비를 들여 북극의 식물을 우리말로 정리해 나갔다. 그리고 그 결과 가운데 스발바르 지역의 식물 55종을 묶어 이달 10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
2019.06.20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 ...
가장 풍부한 포도당을 바이오연료로 바꾸는 고성능 미생물 공장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디젤 생산에 성공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화석원료나 식물,
동물
성 기름을 원료로 쓰지 않고 지구상에 가장 풍부한 리그노셀룰로즈를 원료로 고효율 지방산과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는 기술”이라며 “원유, 가스 등 화석연료에 의존해온 기존 석유화학 산업에서 벗어나 ... ...
[이강운의 곤충記] 기생충의 두 얼굴
2019.06.19
다른 생물에 달라붙어 영양분을 빼앗아 먹는 나쁜 생물을 이른다. 사람을 포함한 척추
동물
의 기생충은 기생하는 생물을 죽이는 경우가 드물지만 곤충의 경우는 기생포식(Parasitoid)라 하여 기생생물을 모두 죽여 버린다. 가장 높은 생물다양성을 자랑하는 곤충은 기생 형태도 다양해 체내에 기생하는 ... ...
돼지를 사냥한 곰 ‘포착’
팝뉴스
l
2019.06.17
머리를 물고 가고 있다. 위 사진은 미국 몬타나 주정부가 공개한 것이다. 야생
동물
을 보호하는 부서에서 공개한 사진의 촬영일자는 지난 5월 말이다. 엄청나게 큰 그리즐리 곰의 입에는 돼지 머리로 보이는 것이 물려 있다. 6월초에는 미국 몬타나 칼리스펠에서는 농장을 침입해 가축들을 잡아 ... ...
토끼를 잡아 먹는 왜가리
팝뉴스
l
2019.06.17
만들었다. 왜가리는 물고기와 쥐 그리고 뱀을 잡아 먹는다. 그런데 토끼처럼 큰
동물
을 먹는 일은 흔치 않아 영상이 주목을 받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효과가 있는 약초를 찾아 약으로 만들어 논문을 내기도 한다. 국내였다면 세포 실험이나
동물
실험을 통해 천연물 신약의 효과를 확인하지만 북한에서는 사람에 직접 써보고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북한 당뇨병 문제 해결하려면 김신곤 교수는 질환을 찾아내는 AI를 도입하면 한국 ... ...
이전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다음
공지사항